[JAVA] 변수, 연산자

나옹·2022년 10월 12일
0


문제 1

int a=20;
int b=30;

두 개의 숫자가 같은지 다른지를 판단후 출력

System.out.println(20==30);

결과=> false

문제 2

int a=40;

a에 곱하기 -1을 한 결과를 다시 a에 저장 후 출력

a*=-1;
a=-a1;	
System.out.println(a);

결과=>-40
문제 3

int a=10;
int b=20;
int aa=30;
int bb=40;

a가 b보다 크고 aa가 bb보다 작으면 성공
이를 판별하여 출력하시오

System.out.println(a>b && aa<bb);

결과 =>false

문제 4

int a=10;
int b=20;
int c=30;

c변수값이 a변수값과 b변수값 사이에 있으면 true라고 출력하시오(조건a가 b보다 작다)

System.out.println((a>c) &&(c<b));

결과 =>false

전위연산자 후위연산자

int a=40;
a++; /a=a+1/
System.out.println(a); /a=41/
System.out.println(a+1); /실제 a의 값은 변함이 없다 출력에만 +1 한 것 42로 출력/
System.out.println(a); /a=41/
System.out.println(++a); /연산자가 들어갔기 때문에 실제 a의 값에도 변화가 생김 42로 출력/
System.out.println(a); /a=42/
System.out.println(a++) ;
/연산자가 들어갔기 때문에 실제 a의 값에도 변화가 생김 그렇지만 a먼저 출력후 연산자++실행/
/ 42로 출력/
System.out.println(a); /a=43/

전위연산자와 후위연산자 공부 방법
언어마다 시점이 조금씩은 다릅니다.
자바에서는 ;이 의미하는 바가 명령문의 끝
System.out.println(a++) 이것이 하나의 명령문 블록
전위연산자는 명령어 블록이 시작하기 전에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후위연산자는 명령어 블록이 끝난 시점에 연산이 이루어집니다.
System.out.println(a++) 이 의미하는 바는 a를 출력한 뒤 a++로 저장한다
System.out.println(++a); 이 의미하는 바는 ++a를 출력하고 저장

profile
최고의 개발을 위해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