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include <stdio.h>
int main(void) //시작하기
{
printf("hello, world\n"); //출력하기 ("문자열, \n 줄바꿈")
}
C는 아주 오래되고 전통적인 순수 텍스트 기반의 언어입니다.
int main(void)
앞으로 우리가 작성할 코드 모두는 이 int main(void) { }의 중괄호 사이에 작성하게 될 것 입니다.
printf
ex. printf(“hello, world\n”)
: 스크래치의 “‘hello, world’라고 말하기” 블록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글자나 단어, 문장을 적을 때는 언제나 텍스트에 " " 쌍따옴표로 감싸야 합니다.
문장의 끝에 마침표(.)를 붙이는 것 처럼 C에서는 세미콜론(;)을 붙여야 합니다.
\n: 줄바꿈의 기능을 합니다. 키보드에서 ENTER의 기능과 동일합니다.
위의 여러가지 기능들은 C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기본적인 내용이므로 꼭! 기억해주세요.
이게 무슨 말일까? 라고 생각이 드실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이것은 지금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늘 제일 중요한 것은 중간에 있는 printf("hello, world")입니다.
우리가 직접 작성한 코드는 “소스 코드” 라고 불립니다.
이를 2진수로 작성된 “머신 코드”로 변환해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작업을 컴파일러라는 프로그램이 수행해줍니다.
ex. clang
소스 코드(직접 작성) -> 컴파일러 -> 머신 코드(2진수)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법
: 터미널창의 명령어 프롬프트에서 “$” 기호 옆에 우리가 원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 + 명령어
clang hello.c 라는 명령어 : “clang” 이라는 컴파일러로 “hello.c”라는 코드를 컴파일하라는 의미입니다.
=> 그 결과 a.out 이라는 파일이 생성됩니다.
./a.out 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컴퓨터가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a.out이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해줍니다.
: ./a. out에서 제일 앞에 있는 .은 지금 있는 현재 폴더를 나타냅니다.
$clang hello.c
// clang이라는 컴파일러로 hello.c(소스코드) -> 컴파일러 -> a.out(머신코드)
참고) 왜 저는 줄바꿈 할때 (백슬래시)가 ₩(원화)로 보이는 것이죠?
-> 해당 문제는 '한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만 생기는 현상입니다.
한글 윈도우에서는 \를 ₩로 표시를 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 표시가 되어도 문제 없습니다.
1.C언어 기초
include <stdio.h> //해당 파일을 실행 int main(void){ //시작하기 printf("string\n"); //출력하기("문자열+개행문자" + 세미콜론 필수) }
c언어로 된 파일은 뒤에 확장자 c가 필요하다 (수동)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는 : $+명령어
- 컴파일 과정 : 소스코드 -> 컴파일러 -> 머신코드(이진)
ex. $clang hello.c
hello.c -> clang -> a.out (파일 생성)
./a.out : 현재 파일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