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인딩이란?

김성수·2023년 6월 15일
0

IT 용어

목록 보기
7/8

들어가면서

바인딩 용어의 명확한 의미를 짚고 넘어간다.

바인딩이란?

바인딩이란 프로그램 기준으로 프로그램 기본 단위(변수)가 가질 수 요소의 구체적인 값과 성격을 확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nt num = 10;

int = 자료형
num = 변수명
10 = 구체적인 값

위처럼 구체적인 값을 할당해주는 과정을 바인딩이라 일컫는다.

또한 함수에서도 바인딩이 있다.

어떤 코드에서 함수를 호출할 때 해당 함수가 위치한 메모리 주소를 연결해주는 것을 바인딩이라고 일컫는다.

정적 바인딩

컴파일 단계에서 일어나는 바인딩이다.

일반적인 primitive 자료형과 함수는 정적 바인딩이다.

고정된 값을 가지고 있으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실행시간 속도가 빨라 효율적이다.

동적 바인딩

파이썬의 경우 자료형을 처음부터 선언하지 않고, num = 10과 같이 runtime에 자료형과 값이 바인딩 된다. 이러한 것을 동적 바인딩이라고 표현한다.

함수에서도 동적 바인딩이 존재한다. 메모리가 직접적으로 정해지지 않고 공간(4byte)만 할당하고 있다가 직접적으로 호출될 때 메모리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메모리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참고 : https://medium.com/pocs/%EB%B0%94%EC%9D%B8%EB%94%A9-binding-4a4a2f641b27

profile
깊이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