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WIL 회고 (23.4.23 ~ 4.29)

김성수·2023년 4월 30일
1

개발자로서 회고

목록 보기
2/9

개요

사전캠프 기간에 JPA, API 웹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려 한다.
기억이 가물가물한 Spring JPA 내용을 복습도 할겸 김영한님의 JPA 강의도 정주행하고 있다.
현재는 SQL 관련 공부도 진행하고 있다.



배운 내용

  • AWS로 프로젝트 배포하기

  • DB, DBMS, DBSystem 차이

  • relation data models

  • ERD 만들어보기

  • DB schema, attribute, tuple, ralation, rows, attribute atomic, domain 용어 개념 숙지 및 도메인과 어트리뷰트 차이 이해

  • super key, candidate key, primary key , unique key차이

  • SQL DDL, DML

  • super key, candidate key, primary key , unique key차이

  • 순열과 조합 DFS, BFS로 풀기

  • SQL 여러 select 메서드(count(), min, max .. 등), group by

  • 쿼리가 실행되는 순서

  • DB application.yml에서 JPA, h2 환경설정

  • SQL inner join, left join

  • h2 ddl-auto 옵션 5가지

  • HTTP 메서드 PATCH와 PUT 차이

  • objectMapper

  • select, from, where subQuery, 서브쿼리 실행 순서



어려웠던 점

서브쿼리를 작성

group by, join 문에 비해서 서브쿼리는 쿼리 자체가 길고,

다양한 방식으로 쿼리를 짤 수 있어서 많이 헤매고 있다.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쿼리문으로 해결해보는 경험을 많이 쌓는게 답인 것 같다.


개인 프로젝트

개인 프로젝트의 첫 시작은 항상 포부가 넘치지만, 문제를 맞닥뜨리는 순간 기가 꺾여버린다.

네이버 open API를 이용해서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보고 싶었는데, 아직 내 실력으로는 부족함이 많다..

그래서 Spring + JPA를 이용해서 뉴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기능을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한다.



개선된 점

자료구조 및 문제 파악 능력이 향상되었다.

매일 알고리즘 문제를 2시간씩 풀고 있는데

어떻게하면 더 잘할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자료구조와 문제의 유형,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할지를 파악하는 것을 중점으로 공부하고 있는데, 효과가 꽤 있는 것 같다!



개선해야할 점

프로젝트 경험을 더 많이 쌓자!

여태까지는 지식을 배우면 적용해보는 시간을 많이 갖지 않았었다.

그래서인지 실력이 쌓이는걸 객관적으로 판단할 근거가 많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사이드 프로젝트이든, 팀 프로젝트이든 더 많이 코드를 쳐보자

언어에 문법이 있듯이, 코딩도 문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할 수록 유리하다.

백문이 불여일타라고 배우기만 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쓸모없는 지식이 되어버린다.

그러니, 배우면 사용하고 응용해보자!



느낀점

일주일은 너무 짧다..

복습하면서 느낀건데 일주일은 너무 짧다.. 분명 엊그저께 기록한 내용같은데 일주일이나 지났다니!!


프로젝트는 작은 것부터 한걸음씩

한번에 너무 많은 도약을 하려하면 높은 벽에 가로막혀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러니 한발 한발 꾸준하게 나아가자!


직접 사용해보면 내가 뭘 모르는지 알 수 있다.

내 머릿속에 input만 반복하면 내가 뭘 모르는지 알 수 없다.

그래서 output을 수시로 해줘야한다는걸 새삼 느낀다.

알면서도 정말 실천하기 어렵지만.

배우면 적용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해야할 것 같다.



next_week_goal

스프링 기초부터 다시

기초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Spring으로 반복 개발해보면서 스프링 기초를 탄탄히!

profile
깊이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