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원격 저장소에 다른 개발자가 작업한 feature 브랜치를 가져오려고 git checkout -b feature/test1 origin/feature/test1 명령어를 사용했는데, 계속 아래 에러가 발생했다.로컬 브랜치를 해당 원격 브랜치를 추적하도록 아래 명
다른 개발자가 개발한 내용을 pull 받았는데 에러가 발생해서 수습하는 동안 나는 이전 커밋으로부터 브랜치를 따서 최근 pull 받은 커밋 내용은 무시하고 작업을 해야 하는 일이 생겼다.그래서 아래 이미지와 같이 에러가 나기 전 특정 시점에서부터 브랜치를 생성하고 싶었
Failed prop type: Invalid prop children supplied to ForwardRef(Dialog), expected a ReactNode.Uncaught Error: Objects are not valid as a React child (f
error Function component is not a function declaration eslint (react/function-component-definition)리액트에서는 보통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어쨌든 함수라는 말이다. ESLint reac
A problem occurred configuring root project 'hello-spring'.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classpath'.Could not resolve org.springfram
Failed to load plugin '...' declared in '.eslintrc.json » eslint-config-standard-with-typescript » eslint-config-standard': Cannot find module 'eslint
🚫 serializableStateInvariantMiddleware.ts:194 A non-serializable value was detected in an action, in the path: register. Value: ƒ register(key) {
eslint --init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모듈이 없다는 에러가 발생한다면 configuration file이 없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이럴 때에는 eslint --init 대신 다음 명령어로 configuration file을 직접 생성하면 해결된다.npm i
설치하려는 패키지와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node 버전이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이다.이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1\.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node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2\. 패키지를 설치할 때 버전을 무시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명
Monolithic Repositorie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하나의 Repository에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은 하나의 Repository에 하나의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 이런 구성은 Polyrepo 혹은 Multirepo라고 부른다.여러 프로젝
이미 main branch를 clone해서 로컬에서 작업하고 있더라도 원격지에 존재하는 다른 sub branch를 가져와 작업해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git pull 혹은 clone으로는 main branch만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원격지
state를 새로고침 후에도 유지하기 위해 redux-persist를 사용한다. 보통은 reducer를 지정해 전체 state를 유지하지만, 특정 state만 유지하고 싶을 때도 있다. 이때 whitelist와 blacklist 옵션을 같이 사용하면 된다.(reduce
리덕스는 새로고침하거나 창을 닫으면 스토어에 저장된 state가 리셋된다. 로그인 정보를 store에서 관리하는 경우, 해당 state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 때 redux-persist를 사용하면 된다.App을 불러오면서 Local Storage에 저장된 유저 정보를
컴퓨터 언어의 문법 에러는 서비스 장애로 직결된다. 그만큼 문법은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문법 요소 중 파괴되기 쉬운 부분은 값식문이다. 따라서 문법의 기본인 값식문의 개념에 대해 반드시 숙지하도록 하자.프로그램이 조작할 수 있는 표현불변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이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를 여러 개의 객체 단위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객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래밍 이론이다. 절차적 프로그래밍과 다르게 객체
chart.js의 툴팁을 항상 보여지도록 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까다롭다. chart.js 외에도 chartjs-plugin-datalabels 플러그인을 별도로 설치해야 구현하기 한결 간편해진다. chartjs-plugin-datalabels는 chart.js 버전 3
npm install -g @vue/cli를 사용해서 뷰 Cli를 설치하려는데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npm ERR! code EACCESnpm ERR! syscall mkdirnpm ERR! path /usr/local/lib/node_modules/@vuenp
클래스는 객체의 설계도이다. 클래스에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필드와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클래스에는 객체가 가져야 할 구성 멤버가 선언된다. 구성 멤버에는 필드, 생성자, 메서드가 있다. 이 구성 멤버들은
디자인 패턴이란, 재사용 가능한 솔루션을 말한다.MVC는 디자인 패턴 중에 하나로 Model-View-Controller의 약자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세 가지 역할로 구분한 개발 방법론이다. 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JSTL이란? JSTL(JSP Standard Tag Library)은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로, JSP의 기본 태그가 아닌 JSP 확장 태그이다. JSTL은 반복, 조건 로직이나 formatting 작업, XML 문서, SQL 태그의 조작을 위한 태그에 사용된다.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