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in the EU: Balancing benefit and control

박나연·2021년 1월 15일
0

이슈

목록 보기
1/1

🎤 NEWS

https://www.eureporter.co/frontpage/2021/01/01/ai-in-the-eu-balancing-benefit-and-control/
from https://datascience.foundation/datascience

📔 Words

commission 위원회 EU Commission 유럽연합
parliament 의회, 국회
recognize 인정하다
strategic 전략상 중요한
bubble 버블, 소규모 모임
sector 부문
affair 일, 문제
legislative 입법의
admittedly 인정하건대
proposal 제안, 제의
kick-start 시작하다, 재촉하다
debate 논쟁
ethical 윤리적인
wealth 부, 재산
emphasize 강조하다
regulation 규정, 규제하다
erect 건립하다, 똑바로 선
barrier 장벽
White Paper 백서, 정식보고서
stakeholder 이해당사자, 주주
consultation 협의, 상의
expert 전문가

adequate 충분한
ensure 보장하다
application 지원, 적용, 응용
framework 뼈대, 틀
propose 제안하다
regard -을 ...로 여기다
assessment 평가
intend 의도하다, 생각하다
function 기능
procedure 절차
academia 학계
assess 재다, 평가하다
criteria 기준, 표준
legally 법률상
voluntary 자발적인
offer 제의하다
governance 통치, 관리
supply 공급, 공급하다
transparency 투명도
incentivize 장려하다
responsible 책임지고 있는, 책임이 있는, 원인이 되는
contractual 계약상의
liability 법적책임
extra 추가의
over-burdensome 과중한 부담
discourage 막다, 좌절시키다
adoption 채택, 선정, 입양

association 협회
burden 부담, 짐
doubt 의혹, 확신하지 못하다
combat 전투, 방지하다
proud 자랑스러운
seamlessly 균일하게
seize 붙잡다, 장악하다
policymaker 정책입안자

💡 Translation

1-1

When the president of the European Commission made her first speech to the European Parliament in December 2019, she officially recognize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n area of strategic importance for the European Union. Nine months later, addressing once again the European Parliament in her maiden “State of the Union’ speech”, she had moved from spelling out “Artificial Intelligence” to talking in terms of ‘AI’ – so well-known is the technology within the EU bubble now. This is not so surprising when AI is being deployed across most (if not all) sectors of the economy, from disease diagnosis to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arming, writes Angeliki Dedopoulou, senior manager for EU Public Affairs with Huawei Technologies.

유럽연합의 의장이 2019년 12월에 유럽의회에서 첫 연설을 했을때, 그녀는 '인공지능'을 유럽연합의 전략상 중요한 분야로 인정했다. 9개월 후, 그녀의 "State of the Union's 연설"에서 다시 한 번 유럽 의회에서 연설하면서, 그녀는 "인공지능"을 철자에서 'AI'로 말하는 것으로 지정했다. 지금은 EU 모임 안에 있는 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질병 진단에서부터 농업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경제의 대부분(전부는 아니더라도)에 AI가 배치되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라고 Huawei Technologies의 EU 공공 업무 책임자인 Angeliki Dedopou는 말한다.

1-2

It is true that much work has been done by the European Commission since President Ursula Von der Leyen and her team took office. Already promised in December 2019 was a “legislative proposal” on AI – what was delivered was an AI White Paper in February. While this, admittedly, is not a legislative proposal, it is a document that has kick-started the debate on human and ethical AI, the use of Big Data, and how these technologies can be used to create wealth for society and business.

Ursula Von der Leyen 의장과 그녀의 팀이 취임한 이래로 많은 일들이 유럽 위원회에 의해 행해진 것은 사실이다. 이미 2019년 12월에 약속된 AI에 대한 "입법 제안"은 2월에 발표된 AI 공식보고서이다. 인정하건대, 이것은 입법적인 제안은 아니지만, 그것은 인간과 윤리적인 AI, 빅 데이터의 사용, 그리고 이 기술들이 사회와 기업을 위한 부를 창출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킨 문서이다.

1-3

The Commission’s White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uniform approach to AI across the EU’s 27 member states, where different countries have started to take their own approach to regulation, and thus potentially, are erecting barriers to the EU’s single market. It also, importantly for Huawei, talks about plans to take a risk-based approach to regulating AI.

본 위원회의 공식보고서는 EU 27개 회원국에 걸쳐 AI에 대한 획일적인 접근 방식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EU의 27개 회원국은 이를 규제하기 위해 자체적인 접근법을 취하기 시작했고, 따라서 잠재적으로 EU의 단일 시장에 대한 장벽을 세우고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은, Huawei에게 있어, AI를 규제하기 위해 위험 기반 접근법을 취할 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1-4

At Huawei we studied the White Paper with interest, and along with (more than 1,250!) other stakeholders, contributed to the Commission’s public consultation, which closed on 14 June, giving our input and ideas as experts working in this field.

Huawei에서는 관심 있게 공식보고서를 연구했으며, 다른 이해 관계자(1,250명 이상)와 함께 6월 14일 마감된 위원회 공개 컨설팅에 기여하여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로서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2-1

Finding the balance

균형을 찾다

The main point that we emphasized to the Commission is the need to find the right balance between allowing innovation and ensuring adequate protection for citizens.

유럽연합에서 강조하는 주요 포인트는 혁신을 허용하는 것과 시민들을 위한 충분한 보호를 보장하는 것 사이에 올바른 균형을 찾는 것의 필요성이다.

2-2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need for high-risk applications to be regulated under a clear legal framework, and proposed ideas for what the definition of AI should be. In this regard, we believe the definition of AI should come down to its application, with risk assessments focusing on the intended use of the application and the type of impact resulting from the AI function. If there are detailed assessment lists and procedures in place for companies to make their own self-assessments, then this will reduce the cost of initial risk assessment – which must match sector-specific requirements.

특히, 우리는 명확한 윤리적 뼈대아래에서 높은 위험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어떻게 AI를 정의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응용 프로그램의 의도된 사용과 AI 기능으로 인한 영향 유형에 초점을 맞춘 위험 평가와 함께 AI의 정의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자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세부 평가 목록과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초기 위험 평가 비용이 절감되며, 이는 부문별 요구사항과 일치해야 한다.

2-3

We have recommended that the Commission looks into bringing together consumer organizations, academia, member states, and businesses to assess whether an AI system may qualify as high-risk. There is already an established body set up to deal with these kinds of things – the standing Technical Committee High Risk Systems (TCRAI). We believe this body could assess and evaluate AI systems against high-risk criteria both legally and technically. If this body took some control, combined with a voluntary labelling system, on offer would be a governance model that:

우리는 유럽연합이 소비자 단체, 학계, 회원 국가 및 기업들을 모아 AI 시스템이 고위험군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것을 권고했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이미 TCRAI(Standing Technical Committee High Risk Systems)가 조직되어 있다. 우리는 이 기관이 법률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고위험 기준에 대해 AI 시스템을 평가하고 평가할 수 있다고 믿는다. 본 기관이 자발적인 라벨 표시 시스템과 함께 어느 정도 통제권을 행사할 경우, 다음과 같은 관리 모델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Considers the entire supply chain;

• sets the right criteria and targets the intended goal of transparency for consumers/businesses;

• incentivizes the responsible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AI, and;

• creates an ecosystem of trust.

• 전체 공급망을 고려합니다.

• 올바른 기준을 설정하고 소비자/기업을 위한 투명성의 목표치를 목표로 삼습니다.

• AI의 책임 있는 개발 및 배치를 장려합니다.

• 신뢰의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2-4

Outside of the high-risk applications of AI, we have stated to the Commission that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based on fault-based and contractual liability is sufficient – even for state-of-the-art technologies like AI, where there could be a fear that new technology requires new rules. Extra regulation is however, unnecessary; it would be over-burdensome and discourage the adoption of AI.

우리는 AI의 고위험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규칙을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AI와 같은 최첨단 기술에 대해서도 결함 기반 및 계약적 책임에 기초한 기존 법적 프레임워크가 충분하다고 위원회에 밝혔다. 그러나 추가적인 규제는 불필요하다; 그것은 과도한 부담이 되고 AI의 채택을 저해할 것입니다.

2-5

From what we know of the current thinking within the Commission, it appears that it also plans to take a risk-based approach to regulating AI. Specifically, the Commission proposes focusing in the short-term on “high-risk” AI applications – meaning either high-risk sectors (like healthcare) or in high-risk use (for example whether it produces legal or similar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ights of an individual).

우리가 유럽연합 내에서 현재 사고방식을 알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것은 또한 AI를 규제하는 데 있어 위험 기반 접근법을 취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럽연합은 단기적으로 고위험 분야(예: 의료 등) 또는 고위험 사용(예: 개인의 권리에 대한 법적 또는 이와 유사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을 의미하는 "고위험" AI 애플리케이션에 초점을 맞출 것을 제안한다.

3-1

So, what happens next?

그래서, 다음은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The Commission has a lot of work to do in getting through all the consultation responses,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business, civil society, trade associations, NGOs and others. The additional burden of working through the coronavirus crisis has not helped matters, with the formal response from the Commission now not expected until Q1 2021.

유럽연합은 비즈니스, 시민 사회, 무역 협회, NGO 및 기타의 요구를 고려하여 모든 협의 응답을 완료하기 위해 해야 할 많은 작업이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추가적인 부담은 문제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유럽연합의 공식적인 반응은 2021년 1분기까지 예상되지 않았습니다.

3-2

Coronavirus has been a game-changer for technology use in healthcare of course, and will no doubt have an impact on the Commission’s thinking in this area. Terms such as “telemedicine” have been talked about for years, but the crisis has turned virtual consultations into reality – almost overnight.

코로나바이러스는 물론 의료 분야의 기술 사용에 있어 판도를 변화시켰으며, 이 분야에 대한 위원회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원격 의료"와 같은 용어는 수년 동안 언급되어 왔지만, 그 위기로 인해 가상 상담이 거의 하룻밤 만에 현실로 바뀌었다.

3-3

Beyond healthcare we see AI deployment being continuously rolled out in areas such as farming and in the EU’s efforts to combat climate change. We are proud at Huawei to be part of this continuous digital development in Europe – a region in which and for which we have been working for 20 years. The development of digital skills is at the heart of this, which not only equips future generations with the tools to seize the potential of AI, but will also enable the current workforce to be active and agile in an ever-changing world: there is a need for an inclusive, lifelong learning-based and innovation-driven approach to AI education and training, to help people transition between jobs seamlessly. The job market has been heavily impacted by the crisis, and quick solutions are needed.

우리는 보건의료 외에도 농업과 같은 분야와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EU의 노력에서 AI 배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본다. 우리는 20년 동안 작업해 온 것이 유럽에서의 지속적인 디지털 개발의 일부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미래 세대에게 AI의 잠재력을 포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인력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에서 능동적이고 민첩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이다. AI 교육 및 교육에 대한 포괄적이고 평생 학습 기반의 혁신 주도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일자리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취업 시장은 위기의 영향을 많이 받아 빠른 해결책이 필요하다.

3-4

As we wait for the Commission’s formal response to the White Paper, what more is there to say about AI in Europe? Better healthcare, safer and cleaner transport, more efficient manufacturing, smart farming and cheaper and more sustainable energy sources: these are just a few of the benefits AI can bring to our societies, and to the EU as a whole. Huawei will work with EU policymakers and will strive to ensure the region gets the balance right: innovation combined with consumer protection.

백서에 대한 위원회의 공식적인 답변을 기다리면서, 유럽의 AI에 대해 더 이상 할 말이 있는가? 더 나은 의료, 더 안전하고 깨끗한 운송, 더 효율적인 제조, 스마트 농업, 더 저렴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원: AI가 우리 사회와 EU 전체에 가져다 줄 수 있는 혜택 중 몇 가지에 불과하다. Huawei는 EU 정책 입안자들과 협력할 것이며 이 지역이 소비자 보호와 결합된 혁신이라는 균형을 제대로 맞출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Summary

Huawei에서 유럽연합의 AI 공식보고서를 연구함. 유럽연합에서 강조한 혁신을 허용하는 것과 시민들을 위한 충분한 보호를 보장하는 것 사이에 올바른 균형을 제시함. 그에 따라 4가지 정도의 표준을 모델화함.

• 전체 공급망을 고려합니다.
• 올바른 기준을 설정하고 소비자/기업을 위한 투명성의 목표치를 목표로 삼습니다.
• AI의 책임 있는 개발 및 배치를 장려합니다.
• 신뢰의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AI 고위험 어플리케이션 외에도 특정 법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다며 유럽연합에 보고하기도 함. 그러나 현재 유럽연합에는 고위험 어플리케이션에만 중점을 두고 있음.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의료 분야의 기술 사용의 변화와 고위험 외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공식적인 유럽연합의 공지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며, Huawei 에서는 AI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밝히며 사람들이 일자리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하도록 해야한다고 말하고, 또한 소비자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힘.

🔔 NEXT

https://www.analyticsinsight.net/top-6-machine-learning-trends-of-2021/

profile
Data Science / Computer Visio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