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 = np.array([[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rint(arr)
[[ 1 2 3 4]
[ 5 6 7 8]
[ 9 10 11 12]
[13 14 15 16]]
#행
print(arr[1])
[5 6 7 8]
#열
print(arr[:,1])
[ 2 6 10 14]
#마지막 행
print(arr[-1])
[13 14 15 16]
#마지막 열
print(arr[:, -1])
print(arr[..., -1])
둘다 [ 4 8 12 16]
▶ 배열[a:b, c:d]
을 이용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
▶ 배열[a:b:e, c:d:f]
를 이용하여 e와 f를 간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 ~ b는 표시할 행의 위치, c ~ d는 표시할 열의 위치
# 2행에서 열 인덱스 1~2
print(arr[2, 1:3])
[10 11]
# 행 인덱스 0~1 || 열 인덱스 1
print(arr[:2,1:2])
[[2]
[6]]
# 행 인덱스 전체, 간격 2(행 인덱스 0, 2) || 열 인덱스 1~마지막 열, 간격 2 (열 인덱스 1, 3)
print(arr[::2, 1::2])
[[ 2 4]
[10 12]]
# 행 인덱스 1~2 || 열 인덱스 1~2
print(arr[1:3,1:3])
[[ 6 7]
[10 11]]
#행 인덱스 1~끝, 1번째부터 간격 2 띄워서(행 인덱스1, 3) || 열 인덱스 1~끝, 1번째부터 간격 2 띄워서(열 인덱스 1, 3)
print(arr[1::2,1::2])
[[ 6 8]
[14 16]]
#행 인덱스 1~마지막 행, || 열 인덱스 처음~(마지막 열-1)
print(arr[1:-1,:-2])
[[ 5 6]
[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