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멘토분들께 공부방법과 기술면접에 대해서 자문을 하였다.
project-뭘했는지 보다, 어떻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의존성 주입은 생성자로 왜 그렇게 했는지, 그 장점은 무엇이고, 다른 있는지 ->Di방법은 기초적인방법
ex)배포서비스를 구축할때, ngix를 사용 하였는데 아파치를 사용안하고 왜 ngix를 사용하였는지
->bean di ioc를 연관지어 설명 (start up 에서는 멀티 쓰레드 환경 동시성을 묻는다)
염두에 두기
commit을 끌리는 대로 작성 x -메서드명, 클래스명, 디자인패턴을 지켜서
---공부법+
게시판 project - 회원가입 Auth 원인관리 기능관리
-블로그 정리 - 개인프젝 블로그에 리팩토리한 내용 정리
인프런에서 java spring ,jpa 관련강의를 수강하고 깃허브에 올린뒤 readme에 작성하고 branch를 따면서 공부하는것이 좋은방법이 될 수 도 있다,
->
project web강좌를 듣고 게시판 or 생각해둔 프로젝트를 진행
issue pr commit을 의미 있게 작성한다.
독학을 하다보니 아무래도 방향성잡기가 쉽지 않아서 백엔드 스터디방에 들어가서 취뽀하신분들께 여러자문을 하는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