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elog.io/@naem1023/series/NLP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batch를 재구성하는 기법이다.
과제 4에서 나왔는데 기법 자체에 대한 이해는 쉬웠지만, 코드에 대한 이해가 매우 어려웠다.
피어세션에서 해결했는데 코드에서 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았다.
이러한 방식이 과제 4의 bucketing 코드에 담겨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bucketing 문제에 대해서 많은 논의를 했다.
팀 구성에 대해서도 후기를 공유했다. CV와 달리 NLP는 팀구성에 굉장히 다들 의욕적이어서 구인 속도가 매우 빨랐다.
21/09/06: Word2Vec 공부, 과제1 해결
21/09/07: RNN, LSTM 공부, 과제2, 3 해결
21/09/08: attention 공부, 과제4 해결
21/09/09: 팀 구성에 많은 힘을 쓴 시간..
21/09/10: 과제4 리뷰
내가 박성호라는건 그 누구도 모른다.. 난 박성호 사회에서 살지를 않으니까..
아래 내가 단 댓글 타고 가면 박성호들이 한국의 모든 여론을 조작하고 있는걸 알게 된다.
보통 텔레그램을 쓰는데 트위터도 많이 쓴다.. 이런게 한 1000개 정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