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본 작동 원리

오늘내일·2023년 10월 13일
0

개발 공부를 하고 있지만 아직 제대로 다른 사람과 협업할 일이 없어서 git을 제대로 사용본 적이 없다. 하지만 나중에 협업할 때를 위해서, 혼자 쓸때도 버젼관리를 위해서 git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git을 처음 봤을 때는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여서, 라이브러리 설치하는 것처럼 대충 인터넷보고 따라 하면 되겠지 생각했었다. 그런데 뭔가 git 관련해서 error가 많이 발생하기도 했었고, 실습하는데 java파일들이 빨간색으로 나오는게 싫어서 git 기본 동작 원리를 배울 필요를 느꼈다.

기본 작동 원리

게임할 때 캐릭터가 죽을 때를 대비해서 save포인트를 만드는 것처럼, 개발작업이 망하거나 수정이 필요할 때 rollback하기 위해서 git을 사용한다.

git은 기본적으로 위의 그림과 같은 흐름으로 작동한다. 일단 크게 보면 로컬에서 작동하는 부분과 원격으로 작동하는 부분이 있다. 로컬에서 작동하는 부분을 위해 본인의 컴퓨터에 git을 설치해야 하고, 원격으로 작동하는 부분때문에 유명한 github, gitlab 등 사이트에 들어가서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

  1. Working Directory : 작업하는 코드들이 있는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2. Staging Area : commit(로컬에 코드의 변경사항을 저장)을 수행할 대상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
  3. Local Repository : 코드의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로컬PC의 저장소(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을 하면 .git 디렉토리가 생긴다. .git 디렉토리가 코드의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장소라고 보면 된다.)
  4. Remote Repository : 코드의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원격 저장소(원격 저장소에 저장해야 여러 사람이 작업할 때 변경사항을 공유하기 쉽다.)

자주 쓰이는 명령어(터미널) by gpt

보통 IDE를 통해서 git을 이용하기도 하고, sourcetree같은 GUI기반의 git관련 응용프로그램도 있다. 하지만 가끔은 GUI보다 터미널에 직접 명령을 쳐넣는게 편할 경우도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를
gpt에 물어봤다.

그리고 뭔가 잘 정리된 것 같은 블로그도 찾았다. 필요하면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wecandev.tistory.com/152

참고사이트 :
https://velog.io/@khg5087/GIT-%EA%B8%B0%EB%B3%B8-%EB%8F%99%EC%9E%91-%EC%9B%90%EB%A6%AC%EC%99%80-%EC%9A%A9%EC%96%B4

profile
다시 시작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