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나혜수·2023년 1월 25일
0

네트워크 기초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네트워크 기초 용어

1. 네트워크

전송 매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
시스템은 반드시 컴퓨터일 필요는 없지만 보통 컴퓨터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반드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인터넷IP (internet protocol)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집합체로,
전 세계의 모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된 네트워크이다.

소규모 네트워크가 모여 더 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 끼리는 라우터라는 중개 장비를 사용해서 연결한다.

2.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컴퓨터와 이용자, 주변 장치, 통신 매체가 접하는 점을 말한다. 인터페이스는 접속기와 같은 물리적인 것일 때도 있고,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논리적(혹은 가상적)인 것일 때도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 받는 경우의 접점이나 경계면이다.
이러한 교환은 소프트웨어, 컴퓨터 하드웨어, 주변 기기, 사람 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체와 키보드를 연결하려면 키보드의 잭을 본체의 정해진 위치에 꽂아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데이터 교환을 위한 논리적 규격뿐만 아니라, 잭의 크기와 모양과 같은 물리적 규격도 표준화되어야 한다.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부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들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마우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장치들은 오직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송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3. 전송 매체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물리적 전송 수단인 전송 매체가 반드시 있어어 한다. 즉, 데이터가 전달되는 물리적 통로가 전송 매체이다.
크게 유선 전송 매체와 무선 전송 매체로 나눌 수 있다. 전송 매체에 따라 네트워크도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구분된다.
ex)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마이크로파, 위성 통신

4. 프로토콜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표준화된 통신 규칙
프로토콜은 주종관계가 아닌 동등한 위치의 시스템 사이 규칙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인터페이스와 구분된다. 인터페이스는 두 시스템이 연동하기 위한 특정 접촉 지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프로토콜은 주고받는 정보의 형식과 일련의 순서에 무게를 둔다.

각각의 계층은 정해진 방식과 절차에 따라 상대 계층과 통신하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상하위의 계층 간에는 인터페이스라는 규칙이 존재하고,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특별히 서비스라 부른다.



시스템 기초 용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가정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행 기능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부를 수 있다.

1. 노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통칭

2. 호스트

노드 중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탬을 호스트라고 한다.
사용자가 호스트 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호스트에는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IP 주소가 할당되기 때문에 IP로 식별되는 노드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컴퓨터는 호스트이면서 노드이다. 하지만 라우터, 인터넷 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노드이지만 호스트는 아니다. 이렇게 노드 중에 호스트가 아니면서 호스트 중간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중계하는 노드를 중간 노드라고 한다.

3. 클라이언트 & 서버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크라이언트와 서버를 나눌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이고,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클라이언트보다 먼저 실행 상태가 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기해야 한다. 그리고 영원히 종료되지 않으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서비스를 반복 제공해야 한다.

profile
오늘도 신나개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