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기반의 경량 마크업 언어다. 일반 텍스트로 서식이 있는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 마크업 언어에 비해 문법이 쉽고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HTML과 리치 텍스트(RTF) 등 서식 문서로 쉽게 변환되기 때문에 응용 소프트웨어와 함께 배포되는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게시물 등에 많이 사용된다.
-위키백과
✏️ 입력
# h1
## h2
### h3
#### h4
##### h5
###### h6📄 결과
✏️ 입력
1. 첫 번째
2. 두 번째
3. 세 번째📄 결과
✏️ 입력
-, *, + 이 중 하나를 택하여 작성한다. (모두 동일하게 작성됨)
- 큰 목록
  - 작은 목록 // 여기서 기호(-)는 상위 텍스트의 첫 글자에 위치하도록 한다
    - 더 작은 목록
      - 더더 작은 목록📄 결과
> 기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앞으로 이 velog에서 정의하는 모든 것은 인용문을 통해 정의한다
✏️ 입력
> 정의하기📄 결과
정의하기
백틱(`)을 반드시 3개 사용하여 작성한다.✏️ 입력
``` 
이와 같이 백틱 세 개로 감싼 스코프 안에서 작성하면 인라인 코드가 만들어진다
``` ``` javascript 
let str = 'string';
let num = 0;
``` 📄 결과
이와 같이 백틱 세 개로 감싼 스코프 안에서 작성하면 인라인 코드가 만들어진다let str = 'string';
let num = 0;백틱(`) 을 사용하여 작성한다.
한 줄로 표시되기에 간단한 글은 유용하나, 긴 글은 백틱 3개를 이용하여 text 파일 형태로 작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 입력
`인라인코드`📄 결과
인라인코드
*, -, _ 기호 중 하나를 택하여 3개 이상 입력하면 작성 가능하다.
✏️ 입력
***
---
___📄 결과
✏️ 입력
# 일반 이미지


# 이미지에 설명 문구


# 이미지 링크
[](연결할 url "url 설명 문구")
[](https://images.velog.io/images/hanblueblue/post/3a0b0464-a4f4-44b9-820a-d14e47f98eec/js.png "Javascript 이미지")📄 결과
html 태그를 이용하여 작성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span style='color: 원하는색상'></span> 태그가 삽입된다.
✏️ 입력
<span style='color: red'>red</span>
<span style='color: #e3e3e3'>#e3e3e3</span>📄 결과
red
#e3e3e3
</br> 태그를 사용한다
✏️ 입력
이러쿵 </br> 저러쿵📄 결과
이러쿵 
 저러쿵
링크 서식은 다음과 같다.
✏️ 입력
# 인라인링크
[인라인링크](https://velog.io/)
# URL 링크
<https://velog.io/>
# 참조 링크
[변수명]:주소
[참조링크]:https://velog.io/📄 결과
인라인링크
✏️ 입력
*italic*
_italic_
**bold**
__bold__
~~취소선~~📄 결과
italic
italic
bold
bold
취소선
마크다운 문법에 있는 기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싶다면, 역방향 슬래시 \ 를 앞에 붙여주면 된다.
✏️ 입력
\*
\_
\#
\`
\\📄 결과
*
_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