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 단일 HTML 요소나 container 박스를 return 하는 컴포넌트의 경우 해당 컴포넌트 자체에 wdith 등을 적용하면 마치 container에 width를 적용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렇지 않다컴포넌트는 하나의 HTML 요소 덩어리를
불변성 : 값이나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것원시타입은 불변성을 가지고 있다string의 값은 data2로 변경 되었다.불변성이 아닌가??불변성의 의미는 값이 완전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메모리 영역에서 새로운 영역이 string 변수에 할당 된 것이다즉, \*
매 렌더링 마다 side effect가 실행된다만약 콜백함수로 fetch() method가 온 경우, 렌더링 마다 fetch method 실행 됨fetch method로 받아온 데이터를 state에 setState를 이용하여 넣는다면,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와 동
곰곰히 생각해봐.setColor 함수는 분명 부모 컴포넌트의 useState hook을 통해 정의된 함수야.근데 그거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라는 자녀 컴포넌트의 state를 바꾸지.즉, 일련의 과정이1\. 부모 컴포넌트에서 useState로 color, setColor
컴포넌트 내부에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의 상태값컴포넌트 === 덜 익은 바나나 이렇게 관계를 설정해보자그리고 바나나의 표면 색상을 CSS의 color 특성이라고 가정하자<컴포넌트이름 style={{color: '특정색상'}}>;바나나의 향이나 모양 등 어떤 것도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