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독 전에는 이 원숭이 얼굴만 봐도 빡이 쳤는데 다시 보니 귀엽다. 원숭이 종은 potto 라고 한다. 뭐 그렇다고 한다.
LunarVim 은 nvim-treesitter 플러그인을 통한 하이라이팅 기능을 제공한다. 메이저 언어의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마이너 언어의 경우 업데이트가 늦어져 하이라이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코드에 완전 무결한 정답은 없다. 우리는 보이스카우트 원칙에 따라 오늘보다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완벽한 코드가 아닌 더 나은 코드를 위하여.
 필자가 이전에 작성한 neovim 설정 게시글에 ehrbs2021 님이 Lunar Vim 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셔서 설치 방법과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하여 올려보려 한다. 기존의 neovim 보다 설치가 쉬울 뿐만 아니라 좋은 (Good Taste) 취향의 설
이름: 군주론저자: 니콜로 마키아벨리펴낸이: 남기성출판사: 자화상 책이 굉장히 어렵다. 지명과 인명, 역사, 정치 체제, 통치 방식 등에 대한 바탕(특히 이탈리아의 지리, 역사, 군주국)이 있는 이들에게는 쉽게 읽힐 수 있다. 그러나 필자는 직접 세계 지도를 펼쳐가며
인간의 본성과 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는 습관을 만들 수 있다. 그 작은 습관들이 모여 지금은 나를 만든다.
책 이름: make: 유닉스, 리눅스 필수 유틸리티저자: 앤드류 오람, 스티브 탈보트옮긴이: 이석주출판사: 한빛미디어 마지막 6장 (명령행의 사용법 및 특별한 타깃)과 7장 (문제해결), 그리고 부록을 제외한 각 장의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여 블로그에 올림. 과거에는
make 로 실행하는 명령어는 서로 다른 셸에서 실행 되는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수행되는 작업의 순서가 파일 간의 관계 에만 주로 영향을 받는 경우 make 기술 파일을 사용하여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으나변수 조작 을 여러 번 해야 하거나 실행 순서를 변경
구시대 유물일지라도 이미 작성된 makefile 과의 호환성을 위해서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거의 작성된 makefile 의 분석을 위해 정리해서 남기려 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위 호환성을 위함일 뿐이며 더 이상 사용해선 안될 것이
이 질문에 답하기 전, 우리는 캐리지 컨트롤 문자 (Carriage Control Character) 에 대해,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라인 프린터 (Line printer) 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1. 라인 프린터 (Line printer) !yo
위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겠는가? 얼핏 보면 Invoke 가 네 번 호출될 것 같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다: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일까? 이러한 출력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자세히 파헤쳐보려 한다. Invoke 가 한 번만 출력된 (isLambd
Wikipedia and The Free Dictionary were not much help — is there a practical difference in the semantics of suffix and postfix, except that the latter
타깃들이 수십 개의 파일들에 종속되거나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버전으로 만들어지기 마련인 실제 프로젝트의 기술 파일에서 반복되는 텍스트의 양을 실로 엄청나리라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 사용되는 기술 파일을 열어보면 뜻밖에도 보통 10~50 줄 정도로 간결하다.
다음은 program 을 빌드하는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버전을 생성할 수 있는 명령이다. 위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파일(program)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컴파일과 링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make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수많은
make 는 명령을 생성하는 유틸리티이다. make 유틸리티는 기술 파일(description file)과 몇 가지 일반 템플릿을 사용하여 유닉스 셸에서 실행되는 각종 명령들을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임시 파일을 제거하는 데서부터, 복잡한 프로그램 그룹의 최종 실행
size_t 는 unsigned 자료형이므로 그 값이 0 이하가 되면 integer overflow 가 발생하게 된다. 더 정확하게 표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