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3 컴퓨터를 작동하게 만드는 운영체제
운영체제 :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할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의 기초 구조물
애플리케이션 :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브라우저, 워드프로세서, 멜론과 같은 음악재생 프로그램, v3 같은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게임들까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합니다.
과거에는 pc에서만 사용되던 용어들이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앱 이라는 줄임말로 바뀌어서 우리에게 더욱 친숙해진 게 어플리케이션의 모습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한 하드웨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발달함에 따라 운영체제 역시 더욱 정교해지고 이것을들 제어하는데에 더 많은 자원들을 투입하게 되었습니다.
컴퓨터는 프로세서,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많은 부분이 포함되었고,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라면 한번에 한개의 프로그램이 아닌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수 있어야 하는 매우 복잡한 기계입니다.
-
이중 일부는 무언가 일어나기를 기다리고있고 (웹페이지 등에서 영화나 프로그램을 다운받을때)
-
어떤 것은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마우스가 움직여서 커서가 같이 움직이는 것)
-
또 어떤 것은 다른 프로그램에 지장을 주기도 합니다. (이미 실행되는 파일에서 새로운 파일 실행)
이러한 정교한 곡예에 가까운 것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통해서 제어할 수 밖에 없고, 이런 역활을 하는 프로그램이 운영체제
라고 합니다.
- 운영체제 목적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것이다. 컴퓨터에는 수 많은 하드웨어가 존재한다. CPU,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네트워크 등이 있으며 이를 잘 관리해주어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성능이 좋을수록 컴퓨터의 성능 역시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종류
▶ 유닉스(Unix)
1970년도 초에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 됨
현재 스마트폰,PC, 서버 시스템, 슈퍼컴퓨터에까지 사용되고 있음
리눅스 , BSD유닉스, IBM AIX, HP HP-UX, 안드로이드, Mac OS &IOS 모두에서 사용된다.
▶ 리눅스
멀티유저, 멀티태스킹 지원하는 유닉스와 유사한 운영체제이다.
리누스 토발즈가 자체적으로 커널을 개발한 공개용 운영체제
안정성, 보완성, 신속한 기능 보강이 가능하다
▶ 윈도우(Window)
- 1985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운영체제임
- 안정적이고 표준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지원함
- 멀티태스킹이 가능하고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서 동시에 여러가지 기능 실행이 가능하다.
-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usb, 헤드셋 등등 사용할 때 운영체제가 바로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게 지원을 한다.
▶ MAC OS
- 애플사가 자사의 PC 개발을 위해 개발한 운영체제
- 장점: 애플 생태계, 이쁘고, 터미널 좋고 편하고 M1 가성비 좋음
8 단점: 게임, 문서, 공공기관, GPU 관련 작업 어렵고 자잘한 한글, 모니터, 마우스 등 호환성 이슈
운영체제의 특징
운영체제의 역활 :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을 제어하고 할당한다.

- 프로세서를 관리하면서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을 스케줄링하고 프로그램간의 관계를 조정한다.
- 특정한 프로그램이 자원을 독치자 하는 것을 막아준다.
- 위와같은 일이 발생시 다른 작업도 일정한 몫을 나눠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속도를 낮춘다.
- 주기억장치를 관리한다.
-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호드해서 프로그램 명령어 실행을 시작해주고, 만약 동시에 이루어지는 프로그램들을 감당하기에 메모리용량이 부족하다면 일시적으로 디스크로 복사했다가 메모리에 공간이 생기면 다시 옮겨서 실행한다.
-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한다.(뒷장에서 설명)
- 컴퓨터에 연결된 장치들의 활동을 관리하고 조정한다.
- 키보드와 마우스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프로그램으로 전달해준다.
-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로 주고받는 통신 처리
- 프린터로 데이터를 보내고 스캐너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도 한다.
결론) 운영체제의 특징 요약
- 여러 프로그램을 같이 실행시키며 서로 충돌없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
- 컴퓨터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라고도 할 수 있다.
- 컴퓨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나 예외상황을 감지하고 상위 계층에게 보고
- 컴퓨터 자원의 이용 현황에 대한 통계자료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