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구현능력과 추가적으로 조금이긴 하지만sql 에 관해서도 조금더 익숙해졌고, 처음으로 스스로 무언가를 구현해봐야겠다고 느끼면서 새로운것에 공부해보는 시간이 생겼고 아직까지는 미구현상태이지만 그래도 처음으로 과제가 아닌 내스스로 찾아서 구현할 새로운 기능이라는 부분
ls: 내 위치의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ls -l : 내 파일들을 목록으로 보여줘 (.파일들은 안나옴)ls -al : .파일 포 모든 파일들을 목록으로 보여줌pwd: 내 위치(폴더의 경로)를 알려준다.mkdir: 내 위치 아래에 폴더를 하나 만든다.cd 갈 곳: 나를
출처 : https://velog.io/@ksungyoun/EC2-%EC%97%90-Mysql-%EC%84%A4%EC%B9%98%ED%95%98%EA%B8%B0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쳐준다 그러면 이렇게 다운로드가 완료된다 EC2에서 Mysql 포트를 뚫어주기
1-1. 나는 협업하기에 좋은 "태도"를 갖추었나요?비록 부족한 실력이였지만 첫 프론트엔드와의 협업이였던 만큼 최대한 아는부분에서 소통하기 위해서 더 노력했고, 서로 모르는 부분이 많다보니 이야기를 해야되는 부분들이 많고 혹시나 단순하게 생각했던 부분들이 감정이 상하게
외래키 라는 것을 설명하기전 프라이머리키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해야한다.primaryKey 는 몽고DB 사용할때 몽구스를 사용하여 스키마를 짤때 사용했던유니크 값을 가진 키로 우선적으로 이해했고, 거기에다가 낫널 (NOT NULL) 즉 키 값이 NULL 이 될수도 없다
1-1. 나는 협업하기에 좋은 "태도"를 갖추었나요?비록 부족한 실력이였지만 첫 프론트엔드와의 협업이였던 만큼 최대한 아는부분에서 소통하기 위해서 더 노력했고, 서로 모르는 부분이 많다보니 이야기를 해야되는 부분들이 많고 혹시나 단순하게 생각했던 부분들이 감정이 상하게
이를 해결하기 위반 방법이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입니다.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서 신호가 충분하다면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범위는 수십~수백 미터적외선과 달리 시간이 향하는 방향에만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모든 물질을 아니여도 일부 물질은
CORS 정책은 우리가 가져오는 리소스들이 안전한지 검사하는 관문이다.웹개발을 하는 사람들은 이 CORS 정책위반으로 인해 에러가 나는 상황을 많이들 겪어봤을것이라고 생각 된다.'https://api.lubycon.com/me'에서 오리진 'https:
터미널 키고 이 단축키 입력 후 엔터 를 하면서 내가 원하는 도커가 실행됨vs code 에서 db 데이터베이스 생성하는 단축키마이그레이션에서 숫자 많은거 그거 생성해서 테이블로 넣어주는 단축키
저작권 문제가 될수 있어서 비공개로 작성해놓앗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 기초적인 부분들 그리고 나도 모르게 사용하고 있던 부분들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좀더 개념적인 부분에서 보완이 된게 이번주에서 가장 성장한 부분인것 같습니다자바스크립트 뿐만 아니라 노드js 나 mysql
참고한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Error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브라우저, 워드프로세서, 멜론과 같은 음악재생 프로그램, v3 같은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게임들까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합니다.과거에는 pc에서만 사용되던 용어들이지만 지금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앱 이라는 줄임말로 바뀌어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이란,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쿼리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즉, 객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매핑)해주는 역할을 한다.ORM에 대해서 말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ORM
프로그래밍은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때는 와이어 프레임을 하듯이 무엇을 해야할지 파악하고, 넓은 명세부터 시작해서 점차 작은 부분으로 적절히 나누고 각 부분을 전체적으로 작업하면서 전체적으로 일관되어 있는지 확인하면서 진행합니다.일반적인 컴파일러나 웹 브라
영성님을 비롯한 다른 조원들의 도움을 많이 받긴 했지만, api에 대한 이해도가 조금 더 올라갔고 새롭게 배운 router 작성시 사용하는 middelware를 이용해서 토큰값을 받아서 특정한 값이 있을때 사용할 수 있는 댓글쓰기 댓글삭제 등등 특별한 기능구현등을 제
해당 코드를 선더클라이언트로 실행했을때 내가 생각한 실행되는 구조는 이랬다.router에 post를 사용하였고 경로는 /posting 이고, authMiddleware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const {nickName} = res.locals.user 로 작성하여서미리
회원가입 페이지 만들던중 이러한 형태로 만들었다. 내가 짠 코드대로 라면 닉네임 중복, 비밀번호의 길이, 패스워드 일치 모두 잘 되어야 하는데이상하게 가운데있는 비밀번호가 너무 짧습니다. 만 제대로 작동을 하질 않았다.내가 비밀번호를 3자리를 치든 4자리를 치든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