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셸 스크립트
📌개념
- 유닉스 계열이나 POSIX를 지원하는 OS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들과
if
, for
와 같은 프로그래밍적 요소로 이루어진 인터프리터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다.
- 명령어들을 텍스트 파일로 작성해서 한꺼번에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 문법은 셸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리눅스의 기본 셸인 bash를 기준으로 정리한다.
- 사용 빈도가 높고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한 곳에 셸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셸 스크립트 생성
- 확장자는
.sh
를 사용한다.
- 첫 줄에
#!/bin/bash
를 명시하여 현재 작성하는 파일이 셸 스크립트 파일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 🖇️cf)
#!/bin/sh
로 해도 상관 없다.
🏷️셸 스크립트 실행
-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1. sh명령어
sh
명령어로 셸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sh test.sh
📌2. chmod명령어
chmod
명령어로 셸 스크립트 파일에 실행권한을 부여한 후 실행할 수 있다.
chmod +x test.sh
./test.sh
📌3. 프롬프트에서 실행
- 셸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 프롬프트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 셸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지 않기에, 재사용은 당연 불가능하다.
📌실습
- 에디터로 다음과 같이 셸 스크립트를 작성해본다.
#!/bin/sh
echo "Hello World!"
-
test.sh로 저장한다.
-
셸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sh test.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