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의 범위를 지정한다.| 명령어 | 설명 |
|---|---|
| . | 현재행 |
| $ | 마지막 행 |
| +# | 현재 행을 기준으로 #만큼 아래 행 |
| -# | 현재 행을 기준으로 #만큼 위 행 |
| % | 전체 행 |
🖇️ cf) #은 숫자를 뜻한다.
🔍 명령행 모드에서 범위 지정의 예)
| 명령어 | 설명 |
|---|---|
| :20d | 20번 행을 삭제한다. |
| :10, 25d | [10, 25] 행들을 삭제한다. |
| :10, $d | [10, $] 행들을 삭제한다. |
| :%y | 문서 전체를 복사한다. |
| :., +20y | 현재 행부터 아래로 스무행을 복사한다. |
| :-10, +5d | 현재 행을 기준으로 위로 10행, 아래로 5행을 복사한다. |
| :40pu | 40번 행에 레지스터의 내용을 붙여 넣는다. |
| 명령어 | 설명 |
|---|---|
| v | 일반 비주얼 모드. 커서 단위로 블록을 지정한다. |
| V | 비주얼 라인 모드. 행 단위로 블록을 지정한다. |
| Ctrl + v | 비주얼 블록 모드(컬럼 모드). 열 단위로 블록을 지정한다. |
비주얼 모드에서는 일반 모드 명령어와 명령행 모드의 명령어 모두 사용가능 하다.
🔍 ex)
1500G를 입력하면 현재 행부터 1500번째 행까지 선택된다.:w file.txt라고 명령하면 선택된 부분만 파일로 저장된다.gg를 입력하면 문서의 맨 앞까지 선택되고, G라고 입력하면 문서의 맨끝까지 선택된다.이 때, 하단에 출력되는 '<,'>는 비주얼 모드로 선택된 범위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