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기 졸업 프로젝트를 하면서 Git 사용법을 몰라 같은 팀원에게 민폐를 끼쳤다..
그래서 이번에 Git 사용법을 익히고자 인프런의 [제대로 파는 Git & GitHub - by 얄코] 강의를 들으면서 Git 공부를 시작한다.
<git을 사용하면서, 전체 프로젝트에 적용될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설정>
- [사용자 이름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YJ"
-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email "khd1692@naver.com"
<설정된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확인>
- [사용자 이름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name
-> YJ
- [이메일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email
-> khd1692@naver.com
<내 로컬 컴퓨터의 기본 브랜치 명을 main으로 변경>
- [기본 브랜치 명을 main으로 설정]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특정 디렉터리 or 폴더에 있는 프로젝트를 git이 관리하도록 설정>
- [이 디렉터리 안의 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 시작]
git init
- 이에 따라 이 프로젝트는 Local의 main 브랜치로써 git에 의해 관리되고
- 해당 디렉터리에는 숨김 파일로, git 디렉터리가 생성된다.
- 생성된 git 디렉터리 안에, 프로젝트 관리 내역들이 저장된다.
<현재 git이 관리하는 이 프로젝트의 상황 보기>
- [git이 관리하는 내 로컬 프로젝트 상황 확인]
git status
<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로 등록하기>
- [이 파일은 git으로 관리하지 마!]
- git이 관리하는 프로젝트가 있는 디렉터리에서, ".gitignore" 이름의 파일 생성
- 이후 .gitignore 파일 안에 git의 관리로부터 벗어날 파일 이름을 명시후 저장
- 그러면 이름이 명시된 파일은 git의 관리에서 벗어나게 된다.
[.gitignore 파일 안에 명시할 수 있는 형태]
- 모든 file.c -> file.c
- 최상위 폴더의 file.c -> /file.c
- 모든 .c파일 -> *.c
- 자세한 사항은 이 링크 참조 : https://www.yalco.kr/@git-github/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