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자바스크립트 ( 10 ~ 13장 )

몽슈뜨·2023년 1월 19일
0

모던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2/3
post-thumbnail

객체

원시 값은 변경불가능하지만, 타입의 값, 객체는 변경가능하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고,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됨

var counter = {
	num: 0,increase: function () { 	│ 프로퍼티
	 this.num++;}
}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된 집합체.
프로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data)
메서드 : 프로퍼티 (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

함수로 객체를 생성하기도 하며, 함수 자체가 객체이기도 함.
= 함수와 객체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개념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C++나 자바는 클래스를 사전에 정의, new 연산자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객체를 생성.

基於原型編程
https://ui.toast.com/weekly-pick/ko_20160603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
객체 리터럴, Object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 Object.create 메서드, 클래스(ES6) 와 같은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할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객체 리터럴을 이용해 생성하는것.

객체 리터럴은 { ... }내에 0개 이상의 프로퍼티를 정의함. 변수에 할당되는 시점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객체 리터럴을 해석해
객체를 생성함.

*객체 리터럴*내 코드블록 중괄호 뒤에는 ; 세미콜론 X
하지만 끝나는 중괄호 뒤에는 ; 세미콜론 O

프로퍼티
객체는 프로퍼티의 집합,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됨

프로퍼티 나열시 , 쉼표 로 구분
마지막 프로퍼티 뒤에는 쉼표 사용해도 되고 안해도 됨

	프로퍼티 키 : 빈 문자열을 포함사는 모든 문자열 또는 심벌 값
	프로퍼티 값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

#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따르지 않는 이름에는 반드시 따옴표를 사용해야함. 


문자열 또는 문자열로 평가할 수 있는 표현식을 사용해 프로퍼티 키를 동적으로 생성가능.
->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표현식을 대괄호로 묶어야함

var obj = {};
var key = 'hello';
//  ES5 : 프로퍼티 키 동적 생성
obj[key] = 'world';
console.log(obj) // {hello: "world"}
// ES6 :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 var obj = { {key}: 'world' };

*프로퍼티 키를 중복선언시, 프로퍼티가 덮어씌워지는데 에러메세지가 발생하지 않으니 주의할것.

# 메서드
頭等物件
https://ko.wikipedia.org/wiki/%EC%9D%BC%EA%B8%89_%EA%B0%9D%EC%B2%B4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객체(일급 객체)이며, 값으로 취급 가능하기에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이를 메서드라 부름. 객체에 묶여있는 함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법은 2가지이다.
마침표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 ) 를 사용하는 마침표 표기법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 )를 사용하는 대괄호 표기법

좌측에는 객체로 평가되는 표현식
우측 또는 내부에는 프로퍼티 키를 지정.

var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person.name); //Lee
console.log(person['name']) //Lee

값의 갱신

객체.프로퍼티명 = '바꾸고 싶은 값';

값의 동적 생성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시 동적으로 생성되어 추가됨과 동시에 값이 할당된다.

객체.추가프로퍼티명 = '넣고 싶은 값';



값의 삭제

delete 객체.프로퍼티명;

만약 delete 객체.없는프로퍼티명;
으로 삭제시 삭제할수 없지만, 오류는 발생하지 않음

ES6 객체 리터럴 확장 기능
프로퍼티 축약
//ES5
var x = y = 2;
const obj = { 
x: x,
y: y
 }
//ES6
let x = 1, y = 2;
const obj = { x, y }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
타입 변환할 수 있는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을 사용해 프로퍼티 키를 동적으로 생성 가능
프로퍼티 키로 사용할 표현식을 대괄호 ( [] )로 묶어야함
ES6
const prefix = 'prop';
let i = 0;

//객체 리터럴 내부에서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으로 프로퍼티 키를 동적 생성
const obj = {
	[ ${prefix} - ${++i} ] : i,
	[ ${prefix} - ${++i} ] : i,
	[ ${prefix} - ${++i} ] : i
};
console.log(obj) // {prop-1: 1, prop2: 2, prop3: 3}


ES6에서는 메서드를 정의할 때 function 키워드를 생략 가능하다.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객체(참조) 타입의 값 =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됨.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이 저장됨.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시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에 참조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 참조에 의한 전달

원시값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Glossary/Primitive
원시 타입의 값 = 변경 불가능한 값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 값이다.

변경 불가능하다 = 변수가 아닌 값에 대한 진술이다.

상수와 변경 불가능한 값은 다르다.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일뿐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됨,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일 뿐
const o = {};

//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원시 값(상수)은 변경불가능
// 하지만 const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한 변수에 할당한 객체는 변경할수 있음
o.a = 1;
console.log(o); // {a : 1}

원시 값의 특성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함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라 값을 '직접' 변경할 수 없는데
따라서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함
-> 이를 불변성이라고 함.
불변성을 갖는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이외에 변수 값을 변경할수 있는 방법이 없음.

유사 배열 객체
var str = 'string';
//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인덱스를 사용해 각 문자에 접근이 가능하다.
console.log(str[0]); // s

// 원시 값인 문자열이 객체처럼 동작한다.
console.log(str.length); // 6
console.log(str.toUpperCase()); // STRING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 80
console.log(copy); // 80

score = 100;

console.log(score); // 100
console.log(copy); // ????

과연 결과는 어떨까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에는 할당되는 변수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이를 값에 의한 전달이라고 하며,
원시 값을 갖는 score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값인 80이 복사되어 전달됨.



값에 의한 전달은 자바스크립트를 위한 용어가 아님.
엄격하게 표현하면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가 전달되기 때문

이처럼 "값에 의한 전달도 사실은 값을 전달하는것이 아닌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는데, 전달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값을 참조할 수 있음.

두 변수의 원시 값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이 불가능하다.

#객체

객체는 프로퍼티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음.
프로퍼티 값에도 제약이 없으며, 객체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음.

변경 가능한 값

변수에 객체를 할당하면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에 접근할 수 있음

-원시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변수의 값을 변경하려면 재할당 외에는 방법이 없지만.
객체는 가능하기에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없이 객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즉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고 프로퍼티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삭제도 가능하다.


***
객체는 이러한 구조적 단점에 따른 부작용이 있음, 원시값과는 다르게 여러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할 수 있다는것이다.

- 얕은 복사 / 깊은 복사★
객체를 프로퍼티 값으로 갖는 객체의 경우 얕은 복사는 한 단계까지만 복사하는 것 = 얕은 복사
객체에 중첩되어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 = 깊은 복사

const o = { x: { y: 1 } };

//얕은 복사
const c1 = { ...o };
console.log(c1 === o); // false
console.log(c1.x === o.x); //true

// lodash의 cloneDeep을 사용한 깊은 복사
const _ = require('lodash');
//하나만 수정해도 둘다 수정이 되어버린다.


//깊은 복사
const c2 = _.cloneDeep(o);
console.log(c2 === o) // false
console.log(c2.x === o.x) // false
//원본과 똑같은 다른 객체를 생성



참조에 의한 전달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되는데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값에 의한 전달""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는 동일하다.

#메모리공간차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참조에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 말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공유에 의한 전달"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음.

#함수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의 핵심 개념인 스코프, 실행 컨텍스트, 클로저,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메서드, this, 프로토타입, 모듈화 등이 모두 함수와 깊은 관련이 있음.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
함수 내부로 입력을 전달받는 변수를 매개변수, 입력을 인수, 출력을 반환값 이라 한다.

함수는 함수 정의를 통해 생성
함수를 왜쓰나 ? -> 코드의 재사용이 유용함 (중복을 제거해 코드가 깨끗해보임)
유지보수의 편의성,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음.
-> 동시에 가독성 향상

함수 이름
함수 이름 = 식별자, 식별자 네이밍 규칙 준수
함수 이름은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가능한 식별자
함수 이름은 생략 가능, 이름있는 함수 = 기명함수, 없는함수 = 익명함수

매개변수 목록
0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소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
각 매개변수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한 인수가 순서대로 할당, 순서 중요
식별자 네이밍 규칙 준수

함수 몸체
함수 몸체는 함수 호출에 의해 실행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일괄적으로 실행될 문들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코드 블록.


함수 정의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 ...)
함수 표현식 (var add = function ...)
Function 생성자 (var add = new Function ...)
화살표 함수 (var add = (x, y => x + y..)

화살표함수는 this 바인딩에 있어 차이가 있음.

함수 선언문은 함수 이름 생략 불가.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생성하고, 거기에 함수 객체를 할당한다.

함수 표현식
값의 성질을 갖는 객체 = 일급 객체,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

함수 선언문이 코드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함수 호이스팅이라 함.

변수 할당문의 값은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 런타임에 평가되므로 함수 표현식의 함수 리터럴도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에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된다.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함수 호이스팅이 아니라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한다.


Function 생성자 함수 
Function 생성자 함수로 생성한 함수는 클로저를 생성하지 않는 등 함수 선언문이나 함수 표현식으로 생성한 함수와 다르게 동작함.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항상 익명함수로 정의하며,
좀더 간략한 방법으로 함수를 선언할 수 있음.

매개변수와 인수
함수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함수 외부에서 내부로 전달할 필요가 있을때 매개변수(인자)를 통해 인수를 전달함.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됨.

초과된 인수는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의 프로퍼티로 보관됨.
https://snowdeer.github.io/c++/2016/04/22/tips-using-function/
이상적인 함수는 한가지 일만 해야하며, 가급적 작게 만들어야 함 - 함수의 기본 원칙중 하나

#반환문

반환문은 함수의 실행을 중단하고 함수 몸체를 빠져나간다.
반환문은 return 키워드 뒤에 오는 표현식을 평가해 반환한다.
return 뒤에 반환값으로 사용할 표현식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undefined가 반환됨.


참조에 의한 전달과 외부 상태의 변경
원시타입 인수는 값 자체가 복사되어 매개변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함수 몸체에서 그 값을 변경(재할당을 통한 교체)해도 원본은 훼손되지 않는다.

객체 타입 인수는 참조값을 통해 객체를 변경할 경우 원본이 훼손됨.

객체의 변경을 추적하려면 옵저버 패턴을 통해 객체를 참조하고 공유하는 모든 이들에게 변경 사실을 통지하고 대처해야 한다.

해결방법중 하나는 객체를 불변객체(16 - 5 - 4)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
객체를 마치 원시 값처럼 변경 불가능한 값으로 동작하게 만드는 것이다.

함수의 형태
즉시 실행 함수
함수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함수
익명 함수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
즉시 실행 함수는 반드시 그룹 연산자( ... ) 로 감싸야 함.

재귀 함수
遞歸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 = 재귀 호출
재귀 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행위, 재귀 호출을 수행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반복문 없이 카운트다운을 구현하려면
function countdown(n) {
 if(n < 0) return;
 console.log(n);
 countdown(n - 1); // 재귀 호출
}
countdown(10);

이렇게 쓸 수 있다.

// 팩토리얼(계승)은 1부터 자신까지의 모든 양의 정수의 곱
function factorial(n) {
 //탈출 조건 : n이 1 이하일 때 재귀호출을 멈춘다.
 if (n <= 1) return 1;
 //재귀 호출
 return n * factorial(n - 1);
}

console.log(factorial(0)); // 0! = 1
console.log(factorial(2)); // 2! = 2 * 1 = 2;
...

재귀함수는 탈출 조건을 만들지 않으면 함수가 무한 호출되어 스택 오버플로 에러가 발생한다.
대부분의 재귀함수는 forwhile로 구현 가능하다.

중첩 함수
함수 내부에 정의된 함수를 중첩 함수 혹은 내부 함수라고 함.

일반적으로 중첩 함수는 외부 함수를 돕는 헬퍼 함수의 역할을 한다.

콜백 함수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다른 함수의 내부로 전달되는 함수 = 콜백 함수 回呼函式
https://namu.wiki/w/%EA%B3%A0%EC%B0%A8%20%ED%95%A8%EC%88%98 고차함수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의 외부에서 콜백 함수를 전달받은 함수를 고차 함수高階函數 

콜백 함수도 고차 함수에 전달되어 헬퍼 함수의 역할을 한다.
중첩 함수는 고정되어 교체가 곤란하지만, 콜백 함수는 함수 외부에서 고차 함수 내부로 주입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고차함수는 콜백함수를 자신의 일부분으로 합성한다.

순수 함수와 비순수 함수

어느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도 변경하지도 않는, 부수효과가 없는 함수를 순수 함수라고 하고
외부 상태에 의존하거나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는 함수를 비순수 함수 라고 함.

함수 내부상테에만 의존한다 해도 그 내부 상태가 호출될 때마다 변화하는 (: 현재 시간) 이라면 순수 함수가 아니다.


스코프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는 다른 언어의 스코프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스코프란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스코프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도 할수 있음.
모든 식별자(변수이름, 함수이름, 클래스이름 등)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
 var x = 'local';
 console.log(x); //local
}
foo();
console.log(x); //local

이처럼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누굴 참조해야 할것인지 결정한다.
이를 식별자 결정이라고 함

코드는 전역과 지역으로 구분가능
구분	설명		스코프		변수
전역	코드의 가장 바깥	전역 스코프	전역 변수
지역	함수 몸체 내부	지역 스코프	지역 변수

지역이란 함수 몸체 내부를 말하며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함.

함수 몸체 내부에서 함수가 정의된 것 = 함수의 중첩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한 함수를 '중첩 함수',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 라고 함.

함수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 함수의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이는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는것을 의미

중첩함수의 지역 스코프는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와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를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라 한다.
 
모든 스코프는 하나의 계층적 구조로 연결되며, 모든 지역 스코프의 최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이며
이것을 스코프 체인이라고 한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상위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수 없다.


스코프 체인으로 연결된 스코프의 계층적 구조는 부자 관계로 이뤄진 상속과 유사하다.
상속을 통해 부모의 자산을 자식이 자유롭게 사용가능 하나, 자식의 자산을 부모가 사용할 수는 없다.

#함수 레벨 스코프

지역은 코드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

C/자바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모든 코드 블록이 지역 스코프를 만드는데
이를 블록 레벨 스코프 라고 한다.

var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의 코드 블록(함수 몸체)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이를 함수 레벨 스코프 라고 함.
var i = 10;
 // for 문에서 선언한 i는 전역 변수임. 이미 선언된 전역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되었음.
for (var i =0; i < 5; i++) {
 console.log(i);
}
// 의도치 않게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음.
console.log(i); // 5

#렉시컬 스코프

var x = 1;

function foo() {
 var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1
bar(); // 1


1.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2.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 10 객체
객체는 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

인스턴스 : 클래스에 의해 생성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실체
클래스는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의 역활을 한다

객체 리터널,동적 <- ??
리터널 => 사람이 보기편하게 해쥼



이미 존재하는 프로퍼티 키를 중복 선언하면,
나중에 선언한 프로퍼티가 덮어쓴다

프로퍼티 접근법
person.name //  마침표 표기법
person.['name'] // 대괄호 표기법

프로퍼티키를 동적 생성
var prefix = ' prop';
var i = 0;

obj = {	};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obj[prefix + '-' + ++i] = i
console.log(obj) // {prop-1: 1 , prop-2: 2, prop-3: 3}

원시타입의 값 = 변경 불가능한 값 = 읽기전용 (read only)

유사 배열 객체
배열처럼 인덱스로 프로퍼티 값에 접근 할 수 있고 legth프로퍼티를 갖는 객체
만자열은 마치 배열처럼 인덱스를 통해 각 문자에 적븐 할 수 있다.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닌 메모리 주소가 전달된다.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닌 메모리 주소를 기억

객체(참조)타입의 값,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

# 12 함수
함수 : 이련의 과정을 (statement)으로 구현하고
코드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 한것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함수는 몇번이든 호출할 수 있으므로 코드의 재사용 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코드의 중복을 억제, 재사용성을 높이는 함수는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실수를 줄여,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 시킨다.
  
함수 선언문
 func add(x,y) {
	 return x+y
 }
 함수 선언문은 함수 이름을 생략할 수 없다.
 표현식이 아닌 문이다.      
 
 
함수 표현식
 var add = func add(x,y){
	 return x+y
 }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함수 리털로 생성한 함수 객체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function 생성자 함수
 var add = new Func('x','y', 'return x+y');
 
화살표 함수
 var add = (x,y) => x+y;
 this바인딩 방식이 다르고, 프로퍼티가 없으며,
 arguments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다. 


함수는 함수 이름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한다.

변수 할당문의 값은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
즉, 런타임에 평가되므로 함수 표현식의 함수 리터럴도
할당문이 실행되는 시점에 평가되어 함수 객체가 된다.
->함수 표현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

매개변수 p.169
초과된 인수는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의 프로퍼티로
보관된다

이상적인 함수는 한가지 일만 해야 하며 가급적 작게 만들어야된다.
-> 매개변수 개수는 적을수록 좋다.

return 과 반환값 사이에 줄바꿈이 있으면 ;(세미클론)이 자동삽입된다.

즉시 실행 함수는 익명 함수를 사용한 것이 일반적이다.

즉시실행함수 쓰는 이유 <= ?

콜백함수 p.184
함수의 매개변수를 통해 다른 함수의 내부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함수 라고 한다.

함수의 외부에서 콜백함수를 전달받은 함수를 `고차함수` 라고 한다.
고차함수는 콜백 함수를 자신의 일부분으로 합성한다.
매개변수를 통해 전달받은 콜백 함수의 호출 시점을 결정해서 호출한다.
콜백함수는 고차 함수에 의해 호출된다.

순수함수 : 부수 효과가 없는 함수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안 값을 변환하는 함수다.
	일반적으로 최소 1개 이상의 인수를 전달받는다. 인수를 전달받지 않는 순수 함수는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하므로 결국 상수와 마찬가지다.
	
비순수 함수 : 외부상태에 의존하거나 외부상태를 변경하는, 즉 부수 효과가 있는 함수

#13 스코프

스코프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렉시컬 환경
  코드가 어디서 실행되며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 즉 코드의 문맥
  
실행 컨텍스트
  이를 구현한 것이 실행 컨텍스트이며, 모든 코드는 실행 컨텍스트에서 평가되고 실행된다.
  
스코프 체인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걸된 것을 `스코프 체인` 이라 한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 한다.

함수 레벨 스코프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
profile
개발자되면 맥북사줄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