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Intra-AS routing in the Internet)
- 기존 LS 와 DV는 현실적이지 않아 => 네트워크는 대부분 계층적인 상황이기 때문
라우팅 프로토콜
- 우리가 모든 dst를 저장하고 있는건 불가능. => scaleablity가 보장이 되야함
- 라우팅을 구성하는 노드들이 자동화가 되어야함.
Intra-As Routing
- 하나의 도메인 내에서 라우팅 되는것
- 같은 지역에 있는 호스트, 라우터 들의 라우팅을 지원
- Gateway router: 인트라에 있는 다른 라우터들이 다른곳과 통신할때 거쳐가는곳
- 알고리즘이 제일 중요
- 성능 향상이 주 이슈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

- link-state 알고리즘 기반 => 전체 네트워크 맵을 그린 후에 작동
- 링크 스테이트 정보가 퍼지는 패킷이 있어야함
- 하나의 도메인 내 topology 맵을 만들 수 있어야함
- 링크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 구동되어야함
큰 도메인 안에서 계층구조 OSPF
- 큰 도메인은 모든 노드들이 link-state 정보 공유해야함. 비효율적임 => 도메인 안에 sub 도메인에서 link-state advertisement 하면 지역적인 정보들이 왔다갔다 하니까 코스트 줄어듬. 효율적
- Area border router는 자신의 네트워크에 속한 라우터들이 어떤 상태인지 정보 조사하고 이를 다른 border 한테 공유해줌
- 리더 Backbone router는 다른 백본 라우터들끼리 OSPF 가능
- Boundary router는 다른 autonomous system과 연결할 수 있음(inter-as routing)
Inter-As Routing
- 도메인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라우팅
- 게이트웨이 라우터가 Inter 도메인 라우팅 하게 도와줌
- 라우팅이 잘 되었더라도, 협약(policy)가 제일 중요해!
BGP(border gateway protocol) 알고리즘
- 인터넷 사이 접착제 느낌, subnet에 자신의 존재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BGP 규격

- eBGP: as간의 메세지 교환할때 사용. 1c에서 2a까지 가는걸 알려줌(대장급 대화)
- iBGP: as internal 라우터들끼리 bgp 메세지 교환할때. 1d가 2a로 가는 경로를 알 수 있게 해줌.(내부 대화)
BGP 기초
- TCP 위에서 돌아감
- 다른 지역에 있는 네트워크에게 내 존재를 알림.

- x가 새로 생긴건 AS 3 만알아. 다른 애들한테도 알려줘야해. => x로 가고 싶은 사람은 AS 3의 3a 를 거쳐가야해! 라고 AS 2 구성원들에게 iBGP 메세지로 알려줘 => 2a 가 전달받은 내용을 AS1 구성원들한테 eBGP로 알려줌.
BGP 경로 선택 방법
- 가까운 NEXT-HOP 라우터: Hot potato routing

- 짧은 의사 결정이라는 뜻. ex) 2d에서 2a로 돌아가는 걸 택해
Intra-As routing + Inter-As Routing => Forwarding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