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t result1 = 1 + "2";
console.log(result1); //12
console.log(typeof result1); //string
let result2 = "1" + true;
console.log(result2); //1true
console.log(typeof result2); //string
// {}, null, undefined + "1" => 문자열
let result3 = 1 - "2";
console.log(result3); //-1
console.log(typeof result3); //number
let result4 = "2" * "3";
console.log(result4); // 6
console.log(typeof result4); // number
Number()함수를 사용한다.| 전달받은 값 | 형 변환 후 |
|---|---|
| undefined | NaN |
| null | 0 |
| true / false | 1 / 0 |
| string | 전달받은 문자열을 그대로 읽되, 처음과 끝의 공백을 무시한다. 문자열이 비어있다면 0이 되고, 오류 발생 시 NaN이 돤다. |
String() 함수를 사용한다.Boolean()함수를 사용한다.| 전달받은 값 | 형 변환 후 |
|---|---|
| 0, null, undefined, NaN, "" | false |
| 그 외의 값 | true |
값이 있는 문자열은 true가 나온다.
숫자형으로 변환 시 undefined는 0이 아니라 NaN이 된다.
문자열 "0"과 " "같은 공백은 불린형으로 변환 시 true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