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cafe.naver.com/windev/10953
client -> server (Http request & response) 의 과정사이에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정리하면,
1) request 과정 (DNS 도메인주소 -> IP주소로 매칭 -> HTTP 연결시도 -> Http request 해당 Web Server 에 전송됨)
브라우저(url http request) -> DNS -> 프로토콜 스택 -> LAN -> 공유기 -> 허브, 스위치, 라우터 , 게이트웨이 -> 인터넷망 -> 라우터, 스위치, 허브, 공유기 -> 방화벽 -> 상대방 웹서버 -> WAS
2) response 과정
그리고 반대로 WAS+DB 백앤드에서 시작해서 http Response 가 역으로 HTML+CSS+Image+JS 로 같이 전송됩니다.
이렇게나 많은 일들이... 🥲
dns 도메인주소 -> IP주소 변환 nslookup www google.com
nslookup
명령어는 네트워크 관리 및 문제 해결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해줍니다.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8.8.8.8은 Google의 Public DNS 서버입니다.
IP주소 43억개
IP주소 확인방법
네이버에 공인 IP 주소
를 검색하면, 본인의 PC 공인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로 정리하면 이 블로그가 가장 정리가 잘 된 것 같다.
https://velog.io/@khy226/브라우저에-url을-입력하면-어떤일이-벌어질까
널널한 개발자tv 에서 보면 더 잘 정리가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mrNg1RnOG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