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를 받은 루는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과제를 하려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과제 계획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 pla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과제를 끝낸 순서대로 이름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plans의 길이 ≤ 1,000
plans의 원소는 [name, start, playtim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plans | result |
|---|---|
| [["korean", "11:40", "30"], ["english", "12:10", "20"], ["math", "12:30", "40"]] | ["korean", "english", "math"] |
| [["science", "12:40", "50"], ["music", "12:20", "40"], ["history", "14:00", "30"], ["computer", "12:30", "100"]] | ["science", "history", "computer", "music"] |
| [["aaa", "12:00", "20"], ["bbb", "12:10", "30"], ["ccc", "12:40", "10"]] | ["bbb", "ccc", "aaa"] |
입출력 예 #1
"korean", "english", "math"순으로 과제를 시작합니다. "korean" 과제를 "11:40"에 시작하여 30분 후인 "12:10"에 마치고, 즉시 "english" 과제를 시작합니다. 20분 후인 "12:30"에 "english" 과제를 마치고, 즉시 "math" 과제를 시작합니다. 40분 후인 "01:10"에 "math" 과제를 마칩니다. 따라서 "korean", "english", "math" 순으로 과제를 끝내므로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2
"music", "computer", "science", "history" 순으로 과제를 시작합니다.
| 시각 | 진행 중 과제 | 잠시 멈춘 과제 | 설명 |
|---|---|---|---|
| "12:20" | "music" | [ ] | "music"을 시작합니다. |
| "12:30" | "computer" | ["music"] | "music"을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30분) "computer"를 시작합니다 |
| "12:40" | "science" | ["music", "computer"] | "computer"를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90분) "science"를 시작합니다 |
| "13:30" | "computer" | ["music"] | "science"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computer"를 다시 시작합니다 |
| "14:00" | "history" | ["music", "computer"] | "computer"를 잠시 멈추고(남은 시간 60분) "history"를 시작합니다 |
| "14:30" | "computer" | ["music"] | "history"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computer"를 다시 시작합니다" |
| "15:30" | "music" | [ ] | "computer"를 끝내고 가장 최근에 멈춘 "music"을 다시 시작합니다" |
| "16:00" | - | [ ] | "music"을 끝냅니다 |
따라서 ["science", "history", "computer", "music"] 순서로 과제를 마칩니다.
입출력 예 #3
설명 생략
단순 구현 문제
일정을 시간순으로 정렬하고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맞춰 실행하면 된다.
function solution(plans) {
const answer = [];
// 시간 순으로 정렬, 시간표현을 문자열에서 int로 변경
const plan = plans
.map((p) => [
p[0],
p[1].split(":").reduce((a, c, i) => a + c * (-59 * i + 60), 0),
Number(p[2]),
])
.sort((a, b) => b[1] - a[1]);
// 첫번째 계획을 스택에 넣고 시작
const stack = [plan.pop()];
let now = stack[0][1];
while (stack.length) {
// 예정된 과제가 없다면 남아있는 과제를 차례로 진행
if (plan.length === 0) {
answer.push(stack.pop()[0]);
continue;
}
const cur = stack.pop();
const next = plan[plan.length - 1];
const uptime = next[1] - now;
// 과제를 끝내고 다음 일정까지 시간이 남으면 남아있는 과제를 진행
if (uptime >= cur[2]) {
answer.push(cur[0]);
now += cur[2];
// 끝내지 못했던 과제를 모두 수행했으면 다음 과제 진행
if (stack.length < 1) {
now = next[1];
stack.push(plan.pop());
}
} else {
// 남아있는 과제를 끝내지 못했다면 스택에 저장하고 다음 일정을 우선 진행
now = next[1];
cur[2] -= uptime;
stack.push(cur);
stack.push(plan.pop());
}
}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