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수업내용 요약 ]
6_007 버블 정렬
- 처음부터 끝까지 인접하는 인덱스의 값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면서 큰 숫자를 가장 끝으로
옮기는 알고리즘이다.
6_009 삽입 정렬
- 정렬되어 있는 자료 배열과 비교해서, 정렬 위치를 찾는다.
6_011 선택 정렬
- 주어진 리스트 중에 최소값을 찾아, 그 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 import copy모듈을 사용해 깊은 복사를 하게되면 원본은 회손되지 않는다.
6_13 최댓값
6_014 최댓값 실습
- 문자열을 아스키 코드 값으로 변환해 주는 함수 :ord()
6_015 최솟값
-자료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는다.
6_017 최빈값
- 데이터에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데이터를 최빈값이라고 한다.
6_019 근사값
- 특정 값(참값)에 가장 가까운 값을 근삿값이라고 한다.
- sum()는 합을 구할 수 있는 함수다.
6_021 평균
- 여러 수나 양의 중간값을 갖는 수를 평균이라고 한다.
6_023 재귀
- 나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것을 재귀라고 한다.
6_024 재귀 알고리즘 실습
- 유클리드 호제법 : 두 자연수 n1,n2에 대하여 (n1> n2) n1를 n2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할 때 n1과 n2의 최대 공약수는 n2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 최대공약수 : gcd
6_025 하노이의 탑
- 퍼즐 게임의 일종으로 세 개의 기둥을 이용해서 원판을 다른 기둥으로 옮기면 되고,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다.
- 한 번에 한 개의 원판만 옮길 수 있다.
-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있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