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생의 데이터 직군 취업로그 19

류지윤·2023년 6월 25일
0
post-thumbnail

[ 오늘의 수업내용 요약 ]

4_018 리스트 나머지 기능들

  • 리스트를 곱셈 연산하면 아이템이 반복된다.(리스트 자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n번 연속 출력됨)
  • index(item)함수를 item의 인덱수를 알아낼 수 있다.
  • ex) index(‘강호동’) => 1번째 인덱스

4_019 리스트 나머지 기능들 2

  • count()함수를 이용하면 특정 아이템의 개수를 알아낼 수 있다.
  • ex) count(‘강호동’)
  • del 키워드를 이용하면 특정 아이템을 삭제할 수 있다.
  • ex) del students[1]

4_020 튜플

  • 튜플이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아이템 변경이 불가하다.
  • ()를 이용해서 선언하고, 데이터 구분은 ‘,’를 이용한다.
  • 숫자, 문자열, 논리항 등 모든 기본 데이터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 튜플에도 또 다른 컨테이너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_021 튜플 아이템 조회

  • 튜플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아이템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번호표가 있다.
  • 튜플 아이템은 인덱스를 이용해서 조회 가능하다.
  • 잘못된 인덱스로 인한 에러 발생 가능성 있음

4_022 in 과 not in 키워드

  • in, not in 키워드를 이용하면 아이템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다.
  • in, not in 키워드는 문자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4_023 튜플 길이

  • 리스트와 마찬기지로 튜플에 저장된 아이템 개수를 튜플 길이라고 한다
  • len()과 반복문을 이용하면 튜플의 아이템 조회가 가능하다.

4_024 튜플 결합

  • 두 개의 튜플을 결합할 수 있다.
  • 리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extend()함수를 튜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4_025 튜플 슬라이싱

  •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n:m]을 이용하면 리스트에서 원하는 아이템만 뽑아낼 수 있다.
  • 슬라이싱할 때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 [2:-2:2] 인덱스 2부터 –2 앞까지의 인덱스를 2개씩 건너뛰어 출력해라 라는 의미
  • 튜플은 슬라이싱을 이용해서 아이템을 변경할 수 없다.
  • 리스트에 튜플 아이템으로 변경 가능하다.

4_026 리스트와 튜플

  • 튜플은 리스트와 달리 아이템 추가, 변경, 삭제가 불가능하다.
  • 튜플은 선언 시 괄호 생략이 가능하다.
  • 리스트와 튜플은 자료형 변환이 가능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