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정보를 접했을 때 반증될 여지 없는 확고 불변의 최종 결론을 얻고자 하는 욕구
- NfCC(Need for Cognitive Closure)
- 인지적 종결 욕구를 충족하려는 사람들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어떤 주제나 쟁점 또는 사안에 확고하고 의심 없는 결론을 받아들이는 것을 선호
- 가령, 어떤 긴 글을 보고 "그래서 결론이 뭔데? 핵심만 말해."라고 요구하는 경우를 뜻함
과학자들의 연구방식으로 설명
-
칼 포퍼의 이상적인 모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반증 가능성(falsifiability)을 항상 염두에 두고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수행함
-
자신이 어긋났을 수 있다는 마음의 문을 굉장히 오래 열어두어서 항상 여지를 남겨 둔다.
→ NfCC 가 낮다고 볼 수 있다.
-
NfCC 가 높은사람들은 매우 빠르게 확고불변한 최종 결론을 형성하고, 그 결론을 바꾸지 않으려 한다.
-
누구인가는 느긋하고 여유롭게 자신이 어긋났을 수 있다는 불확실성을 즐기겠지만, 누구인가는 재빨리 마음의 문을 닫고서 내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믿으려 할 것이다.
-
이들은 자신의 생각에 반증 가능성을 허용한다. 물론 그에 뒤따르는 엄청난 심리적 부담감을 견뎌낼 수 있기에 가능한 일.
이중 과정 모형으로 설명
먼저, 이중 과정 모형이란, 사람의 생각이 크게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이다.
- 종류 1 → 정말 많은 인지적 자원을 오랫동안 소모하는 '비싼'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만, 그만큼 더 정교하고 신뢰할 만한 결과물이 나온다.
- 종류 2 → 최소한의 인지적 자원만을 들여서 빠르게 넘기는 '값싼'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만, 그만큼 현실의 복잡함과 다양성을 싸잡아 치부하는 투박한 결과물이 나온다.
크루글란스키 → 위같이 흑백논리로 분류하는것에 반기를 듬
- "두 가지 서로다른 정보 처리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하나의 방식을 얼마나 끈질기게 사용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 심리학자들이야 주변 사람들이 전부 고학력자이다보니 "깊은" 생각과 "얕은" 생각의 차이가 두드러져 보일 뿐이지, 일반인들은 그 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이다.
- 크루글란스키는 이런 모호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차 변인으로, "자신의 인지적 자원의 투입을 가능한 한 빠르게 중지하려는 욕구가 있다" 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 NfCC가 낮은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데,
(낮은게 무조건 좋은거 아니었어? 이말을 하는 것도 내가 NfCC가 높아서 이렇게 정의내린거구나)
- NfCC가 높은 것은 사회과학적으로 꽤 큰 문제가 되곤 한다.
- 왜? 자신이 믿고 있는 그 '결론'이 틀릴 때, 그것이 그름(아님) 을 납득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 '붙잡기(seizing)'와 '얼어붙기(freezing)'의 두 가지 단어를 들어 요약해 설명했다. 즉, 어떤 그럴듯한 정보가 들어올 때 개인이 그것을 당장 '붙잡고', 그것을 붙잡은 채로 고스란히 '얼어붙어서' 절대로 놓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NfCC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개인적 요소
- 삶이 질서 정연하고, 구조화 되기를 바라는 질서에 대한 선호
- 일관되고 변하지 않는 지식을 선호하는 예측 가능성에 대한 선호
- 신속하고 종결에 도달하고자 하는 판단에 대한 명확성과 결단성
- 모호한 상황을 싫어하는 모호함에 대한 참을성
- 자신의 판단과 일치하지 않는 증거나, 의견에 대한 개방성
- 상황적 요소
- 여러 상황적 요소중 하나는 대표적으로 시간의 압박이다.
- 데드라인이 명확한데,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않으면 빠른 결정에 대한 상황적 요구는 거세질 수 밖에 없다.
- 이로인해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고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찾기 힘들다.
NfCC 가 높다면 어떤 문제가 생겨나는가?
NfCC (종결욕구) 와 마주한 리더를 위한 팁
References
나무위키
인지적 종결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