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TIL-CS지식-0과 1의 세계

장산·2022년 5월 19일
0

CS지식

목록 보기
2/7

0과 1의 세계

"세상에는 오직 10가지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진수를 이해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디지털 시스템은 모든 우형의 정보를 숫자 값으로 표현한다. 의외라고 느낄 수 있겠지만, 디지털 시스템 내부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십진수 체계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대신 이진수,즉 기수가 2인 수를 사용한다.

비트(bit)

디지털 정보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비트라는 단어는 이진 숫자라는 뜻의 binary digit를 축약한 것으로 1940년대 중반에 통계학자 존 투키가 만들어냈다.
이진이란 두 개의 값을 가졌음을 암시하고 , 이는 비트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비트는 0 또는 1 중 하나의 값을 사용하고 다른 값은 사용하지 않는 숫자이다. 이는 십진수에서 0부터 9까지 10개의 값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비트는 (bit)라는 녀석은 2진수로써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바이트(byte)

컴퓨터의 기억장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자주 쓰이며,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정수형에 속하는 자료형이기도 한다. 바이트의 실질적 의미는 ASC문자 하나를 나타낼 수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바이트를 한 워드로 사용하고 있는 현재에도 대부분의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메모리의 주소 단위로 사용된다.

복습 할겸 여기서 문제!(정답시 스타벅스 아아를 드립니다!)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 해라

1111101100 =
11100011010 =
1100011 =
111010000101110001110000 =

2의 거듭 제곱과 10의 거듭제곱

컴퓨터 내부에서는 모든 것이 이진수로 처리되므로 크기와 용량 같은 속성이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비트가 N개 있다면 2의 n승 개의 값이 가능하므로 2의 거듭제곱을 일정한 값,가령 2의 10승 정도까지 알아 두면 편리하다.

2의 거듭 제곱중 일부분는 10의 거듭제곱에 가까운 값이고, 기억하기 쉽게 규칙적이다. 수가 커짐에 따라 값의 오차가 커리기는 하지만,10의 15승에 가서야 12.6%정도 차이 날 뿐이다. 따라서 이 연관 관계는 상당히 폭넓게 유용하다. 보통 2와 10의 거듭제곱을 연관지어 기억하면 비트와 관련된 큰 수를 암산하기에 좋다.

profile
신입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