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체인 - 블록 체인 기술

장산·2022년 8월 25일
0

블록체인

목록 보기
5/5

블록 체인 계좌 주소

  • 계좌 주소 - 비트코인
  • 한 명을 하나의 노드라고 함
  • 각 노드는 모두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짐
  • 네트워크에 참여한 비트코인을 사용하는 사람(프로그램)
  • 하나의 노드로써 참여하게 되면 모든 데이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동기화하고 검증하는 것이 핵심임

비트코인 노드 유형

  • FUll node
    • 비트코인 거래 정보를 전부(모든 사용자가 현재까지 진행한 거래내역 전부)를 저장하고 비트코인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하며 비트코인 네트워크상으로 직접 거래를 만들 수 있음
    • 독립형 이메일 서버와 유사함(직접 서버를 구축하여 메일을 보낼 수 있음)
  • Lightweight node
    • 이미 동기화가 끝나있는 서버로 연결해서 사용함
    • 사용자의 지갑을 저장하긴 하지만 비트코인 거래나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제 3자가 소유한 서버에 의존함
    • 거래 내역 전부에 대한 복제본을 저장하지 않음
  • Web node
    •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며 제 3자가 소유한 서버상에 사용자의 지갑을 저장함
    • 웹 메일과 유사함

채굴

  • 화폐 발행
  • 비트코인 생성
    • 블록보상 흭득
  • 난이도
  • 초기에는 50코인, 반감기가 두 번 발생, 현재는 12.5 비트코인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ECDSA)

  • 이산대수 문제기반 암호 알고리즘
    • 어떤 수 A를 B의 C승으로 나타낼 때 A=b^C, C의 값을 찾는 것을 이산대수 문제라고 함
    • 2^C = 8 일때, C = 3
    • 3^12 = 12 (mod 17)
  • 타원곡선 암호에 기반한 공개키 암호방식
    • RSA보다 매우 짧은 길이의 키를 사용하면서도 비슷한 수준의 안정성을 제공함
    • RSA암호 시스템의 1024bit 정도의 안전도를 제공하는 ECC의 키 길이는 160bit됨
    • 주로 암호화에는 사용되지 않으며,전자 서명(ECDSA)과 키 교환(ECDH)부분에서 주로 응용됨
  • 타원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지름(ECDSA)
    • ECDSA는 미국 연방 표준 서명 알고리즘 DSA(FIPS 186)를 타원곡선 알고리즘으로 변환한 것으로 사용저 안중애 활용됨
  • 비공개 키
    • 비트코인 비공개키 생성은 매우 많은 비공개 키 중에 하나를 최대한 랜덤하게 선택하는 과정
    • Bitcoin private key database: http://directory.io/
    • 256bit ECDSA private key(약52문자)
    • 비트코인 주소 단방향 생성에 사용
    • 비트코인 주소에 있는 잔고를 사용(서명)하는데 사용
profile
신입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