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1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1 ≦ n ≦ 16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출력 형식
원래의 비밀지도를 해독하여 '#', 공백으로 구성된 문자열 배열로 출력하라.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arr1, int[] arr2) {
String[] answer = new String[n];
for(int i=0; i<n; i++){
String binStr = Integer.toBinaryString(arr1[i] | arr2[i]);
binStr = String.format("%" + n + "s", binStr);
binStr = binStr.replaceAll("1", "#");
binStr = binStr.replaceAll("0", " ");
answer[i] = binStr;
}
return answer;
}
}
이번에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면서 풀었던 lv1 문제 중에 가장 어려웠다.
2018년도 카카오 블라인드 테스트 기출 문제라고 한다..
우선 혼자 푸는데 실패해서, 답안을 참고해서 이해했다.
처음에 혼자 시도 했을 때, 이진수를 만드는 메서드가 있는걸 모르고 실제로 이진수를 만드는 메서드를 구현했다. 그런데 위 문제의 경우 이진수를 만들고 나서 정해진 글자수보다 작으면 0으로 채워줘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그래서 더 어려웠다.
우선 java에서는 Integer.toBinaryString 이라는 정수를 이진수로 바꿔주는 메서드가 존재한다.
그리고 String.format("%" + n + "s", binStr); 을 활용하여 정해진 길이만큼을 채워줄 수 있다. 각 인자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String.format()은 서식 문자열(format string)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형식화합니다.
서식 문자열에서
% 기호는 대치될 위치. 즉, 여기에서는 binStr이 대치될 위치를 나타낸다.
n은 최소 출력 너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n은 런타임에 계산되는 값이며, 여기에서는 입력 매개변수 n의 값이다. 따라서 최소 출력 너비가 n이 된다. 이 말은, 만약 binStr의 길이가 n보다 작으면 binStr 앞에 공백이 추가되어 binStr의 총 길이가 n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만약 공백을 문자열의 뒤쪽에 추가하려면 -를 사용하여 %-ns 형식을 사용하면 됨)
s는 출력될 값이 문자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String.format("%" + n + "s", binStr)은 binStr을 출력하는 데 있어서 최소 너비가 n인 문자열로 형식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binStr의 길이가 n보다 작다면 binStr 앞에 공백이 추가되어 binStr의 총 길이가 n이 되도록 한다. 만약 binStr의 길이가 n과 같거나 크다면 binStr이 그대로 출력된다.
또 하나,
arr1[i] | arr2[i]에서 | 는 비트 연산자를 의미하는데
비트 단위로 비교하여,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 둘 다 0이면 0을 반환한다.
즉 1001 | 1100 = 1101을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