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엔지니어 수업 1일차

태기·2023년 2월 20일
0

Infrastructure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에 필요한 모든자원은 관리하는 기반

Network Component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시스템
ex)NIC,케이블과 커넥터,허브,스위치,라우터,로드 밸런서,보안장비(방화벽/IPS),모뎀/공유기 등

HCI(Hyper Converged Infrastructure)

Virrualization+Servers+StorageNetwork+StorageSystems
전체 데이터센터 스택을 통합한 인프라구조

COMPUTE

cpu + ram

Object Storage

Google Drive, I Cloud, MyBox

IP (Internet Protocol)

공인(Public) IP : 외부 접근 가능 IP
사설(Private) IP : 내부만 접근 가능 IP

DNS (Domain name System)

입력한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
보통 NameServer라고 부름
DNS = NameServer + Resolver = 권한있는 DNS서버 + 권한없는 DNS서버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Software Application + API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 또는 중앙에서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관리

NODE

IP로 통신하는 모든 기기

TOPOLOGY

네트워크 망 구성도

CLOUD COMPUTING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것

클라우드 vs 가상화 차이점?

네트워크 전체에서 확장가능한 리소를 추상화하는 환경(클라우드)과
단일 물리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여러 시뮬레이션 환경 리소스를 생성하는기술(가상화) 차이

CSP (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
ex) AWS GCP AZURE

Public Cloud

CSP, 즉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일반적인 유형
-초기비용 없는 비용절감
-유지관리 필요없음
-무제한 스케일링(cpu자원을 늘리는것)

Private Cloud

고객이 직접 구축한 클라우드, 즉 온프레미스와 다르게 자사가 신속하게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 안정화가 가능한 환경
-높은 수준의 제어 향상
-고객이 직접 요구사항 반영
-대개 온프레미스보단 큰 스케일링 향상 가능

Hybrid Cloud

[Public + On-Premise or Public + Private or Privae + Private] CLOUD

-여러 환경 간 워크로드 이동 가능
-새로운 리소스 확장 및 빠르게 공급
-IT 리소스를 단일 풀로 통합

1.pri<--->pub connection
보통 vpn으로 터널링(장치와 인터넷사이에 암호화 연결)
2.pub_1<---->pub_2
Multi Cloud로 연결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OS,MiddleWare,Runtime,Data,Application 직접 구축
ex)EC2,S3

PaaS (Platform as a Service)

Data,Application 직접 구축
ex)SalesForce,Google App Engine

SaaS (Software as a Service)

직접 구축할 것 없음, Lock in 돼서 유사 서비스로 변경 불가
ex)Web-Mail,DropBox,Google Cloud

profile
경제적 자유를 향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