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즉, HTTP란 컴퓨터들끼리 HTML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 또는 약속이다.
전송은 보내는 주체와 받는 주체가 있다.
보내는 주체는 받는 주체에게 요청을 보내고, 받는 주체는 요청을 보낸 주체에게 응답을 보낸다.
HTTP 요청은 사실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에서 백엔드(서버)에 일(데이터 처리)을 시작하게 하기 위해 보내는 메세지이다. 메시지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Start Line : 요청의 첫 번째 줄에 해당한다. Start Line도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1. HTTP Method : 해당 요청이 의도한 액션을 정의하는 부분. 주로 GET, POST, DELETE가 많이 쓰임.
2. Request target : 해당 request가 전송되는 목표 url
3. HTTP Version : 사용되는 HTTP 버전을 뜻한다. 주로 1.1버전.
✔️ Headers : 해당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이. Key : Value 형태로 되어있다.
✔️ Body : 해당 요청의 실제 내용. 주로 Body를 사용하는 메소드는 POST다.
응답의 구조도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Status Line : 응답의 상태 줄이다. 응답은 요청에 대한 처리상태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면서 내용을 시작한다. 응답의 Status Line도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1. HTTP Version : 요청의 HTTP버전과 동일
2. Status Code : 응답 메세지의 상태 코드
3. Status Text : 응답 메세지의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해주는 텍스트
✔️ Headers : 요청의 헤더와 동일하다. 응답의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 있다.
✔️ Body : 요청의 Body와 일반적으로 동일하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Body의 데이터 타입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다.
각각의 HTTP 통신(요청/응답)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과거의 통신(요청/응답)에 대한 내용을 전혀 알지 못한다. 그렇디 때문에 매 통신마다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아서 요청을 보내야 한다.
200: OK
201: Created
400: Bad Request
401: Unauthorized
403: Forbidden
404: Not Found
500: Internal Server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