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테스트 (2과목)

0

정보처리기사 준비

목록 보기
53/57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개념

  • 애플리케이션에 잠재되어 있는 결함을 찾아내는 일련의 행위 또는 절차
  •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Validation)
  • 기능을 정확히 수행하는지 검증(Verification)

소프트웨어의 분류

  • 상용 소프트웨어 : 산업 특성에 따라 산업 범용 소프트웨어와 산업 특화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 산업 범용 소프트웨어 : 시스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 산업 특화 소프트웨어 : 특정 분야에서 요구하는 기능만 구현한 소프트웨어
  • 서비스 제공 소프트웨어 : 신규 개발 소프트웨어, 기능 개선 소프트웨어, 추가 개발 소프트웨어, 시스템 통합 소프트웨어로 구분된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필요성

  • 프로그램 실행 전 오류를 발견하여 예방할 수 있다.
  •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 새로운 오류의 유입도 예방할 수 있다.
  • 효과적으로 수행한다면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많은 결함을 찾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기본 원리

  • 파레토의 원칙 : 오류의 80%는 20%의 모듈에서 발생한다.
  •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로 동일한 테스트를 반복하면 살충제 패러독스 현상이 발생한다.(벌레(버그)가 내성이 생겨서 죽지 않는 현상) 테스트 케이스를 지속적으로 보완 및 개선해야 한다.
  • 소프트웨어가 결함이 없어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해당 소프트웨어는 품질이 높은 것이 아니다. 오류-부재의 궤변(Absence of Errors Fallacy)라고 한다.
  • 테스트와 위험은 반비례한다. 테스트를 많이 할 수록 미래의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 테스트는 개발자와 관계없는 별도의 팀에서 수행해야 한다.
profile
비전공자 개발초보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