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패키징 (2과목)

개발로 쓰는 개발 노트·2023년 7월 23일
0

정보처리기사 준비

목록 보기
45/57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개요

  • 모듈별로 생성한 실행 파일들을 묶어 배포용 설치 파일을 만드는 것
  • 개발자가 아니라 사용자 중심으로 진행한다.
  • 소스코드는 향후 관리를 고려하여 모듈화하여 패키징한다.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배포 형태로 패키징한다.

패키징 시 고려사항

  •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 즉 운영체제(OS), CPU, 메모리 등에 필요한 최소 환경을 정의한다.
  •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인 자료와 함께 제공하고 메뉴얼과 일치시켜 패키징한다.
  • 다른 여러 콘텐츠 및 단말기간 DRM(디지털 저작권 관리) 연동을 고려한다.
  • 제품 소프트웨어 종류에 적합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패키징 작업 순서

  • 애자일 기법인 경우에는 보통 2~4주 내에서 지정하며 각 주기가 끝날 때마다 패키징을 수행한다.
  •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마지막에 온라인 배포, 오프라인 배포를 선택하여 배포한다.
  • 온라인 배포 : 배포 파일을 고객이 직접 다운로드
  • 오프라인 배포 : CD-ROM이나 USB 등에 설치 및 사용 메뉴얼과 함께 배포
  • 배포 순서는 아래와 같다.
    • 기능 식별
    • 모듈화
    • 빌드 진행
    • 사용자 환경 분석
    • 패키징 및 적용 시험
    • 패키징 변경 개선
    • 배포

profile
비전공자 개발초보입니다!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23일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