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개요 (2과목)

개발로 쓰는 개발 노트·2023년 7월 18일
0

정보처리기사 준비

목록 보기
39/57

데이터저장소

  • 데이터를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한 것을 의미한다.
  • 논리 데이터저장소와 물리 데이터저장소로 구분된다.
  • 논리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 한 것.
  • 물리 데이터저장소는 논리 데이터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와 구조들을 소프트웨어가 운용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하드웨어적인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

데이터베이스

  •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
  • 통합된 데이터 (Inte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 저장된 데이터 (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 될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도록 관리
  •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접근 방법, 유지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진다.
  • DBMS의 필수 기능에는 정의(Definition), 조작(Manipulation), 제어(Control) 기능이 있다.
  • 데이터의 기능에 대한 명령어에 따라 DDL, DML, DCL로 나뉜다.
  • 정의 기능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Type)과 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 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
  • 조작 기능 :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
  • 제어 기능 :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고 권한을 검사

DBMS의 장단점

  • 장점
    • 데이터의 논리적, 물리적 독립성 보장
    •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
    • 데이터 무결성 유지
    • 보안 유지
    • 실시간 처리 가능
  • 단점
    • 전문가가 부족
    • 전산화 비용 증가
    • 대용량 디스크로의 집중적인 Access로 과부하(Overhead)가 발생
    • 시스템이 복잡함.

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
  • 사용자 관점에 따라 외부, 개념, 내부 스키마로 나뉜다.
  • 외부 스키마 :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
  • 개념 스키마 :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로 하나만 존재한다.
  •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로서,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레코드의 형식을 정의하고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낸다.

profile
비전공자 개발초보입니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18일

너무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