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검증
- 요구사항 검증은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전에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이 요구사항 명세서에 정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되었는지 검토하고 개발 범위의 기준인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것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계획 수립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이 프로젝트 품질 관리 계획을 참조한다.
- 검토 기준 및 방법 : 프로젝트의 규모, 참여 인력, 검토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검토 기준 및 방법을 정한다.
- 참여자 :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여 프로젝트 관리자, 품질 관리자, 인터페이스 분석가,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시스템 사용자, 테스트 관리자 등 요구사항 검토 참여자를 선정한다.
- 체크리스트 : 완전성, 일관성, 명확성을 점검할 수 있어야 함.
- 관련 자료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목록,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등 준비
- 일정 : 검토 일정을 정한다.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토 및 오류 수정
- 검토 체크리스트 항목에 따라 요구사항 명세서를 검토하는 것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베이스라인 설정
- 검증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은 프로젝트 관리자와 주요 의사 결정자에게 공식적으로 승인을 받는다.
요구사항 검증방법
- 요구사항 검토는 담당자들이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크게 동료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으로 3가지가 있다.
- 동료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자가 직접 설명, 동료들이 회의하여 결함을 발견
- 워크스루 : 검토 회의 전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 이를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결함을 발견
- 인스펙션 :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결함을 발견
- 프로토 타이핑 : 견본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 예측
- 테스트 설계 :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여 테스트 가능한지 검토
- CASE 도구 활용 : 일관성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 변경사항의 추적 및 분석, 관리하고 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의 주요 항목
- 완전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완전히 반영되었는지
- 일관성 : 요구사항이 모순되지 않고 일관성을 유지하는지
- 명확성 : 모든 참여자가 요구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지
- 기능성 : 요구사항이 어떻게보다 무엇을에 중점을 두는지
- 검증 가능성 : 요구사항이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하고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에 일치하는지
- 추적 가능성 : 요구사항 명세서와 설계서를 추적할 수 있는지
- 변경 용이성 : 요구사항 명세서의 변경이 쉽도록 작성되었는지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