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에서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한다.
아래에서 초록색 New
버튼 클릭하면 "Create a new resporitory" 라는 화면이 나온다.
내가 만든 프로젝트의 편집기(예, VsCode)에서 터미널을 연다.
터미널에서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 프로젝트를 처음 깃허브에 올릴 때 입력해주는 명령어다.
나의 프로젝트의 코드에는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으니 안심하고 입력!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내용"
: 히스토리를 만들어주는 과정 (예, 최종, 최최종, 최최최종)
이전까지는 나의 프로젝트와 깃헙 사이에 아무런 연결고리가 없는 상태다. 이제 vscode에게 나의 프로젝트를 어디에 올릴 것인지 알려줘야 한다.
깃헙 레포를 새로 생성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git remote add origin https://~~ 부분을 복사해서 터미널에 입력해준다. (바로 copy를 해가는 버튼을 누를 수도 있음)
git remote add origin https://~
: 이 레포로 내 소스코드(origin)를 보낸다 라는 뜻
git remote -v
로 내 연결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git push origin main
명령어를 입력해서 소스코드들을 보내준다
main은 내가 위치하고 있는 브랜치명이다.
마찬가지로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내용"
git push origin m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