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05 함수

Jimin·2022년 10월 6일
0
post-thumbnail

1. 함수 생성 방법

익명 함수

익명 함수 생성 방법

let 함수_이름 = function() {};

선언적 함수

function 함수_이름() {}

화살표 함수

() => {}

2. 함수의 기본 형태

function 함수_이름(매개_변수) {
  함수_코드;
  return 리턴_값;
}

3. 콜백 함수(Callback)

자바스크립트는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어 함수를 함수의 매개 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4. 표준 내장 함수

숫자 변환 함수

함수설명
parseInt()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한다.
parseFloat()문자열을 실수로 변환한다.

타이머 함수

특정 시간 후에 또는 특정 시간마다 어떤 일을 할 때는 타이머 함수를 사용한다.

타이머 설정함수

함수설명
setTimeout(함수, 시간)특정시간 후에 함수를 실행한다.
setInterval(함수, 시간)특정시간마다 함수를 실행한다.

타이머 제거함수

함수설명
clearIntercval(아이디)특정시간마다 실행하던 함수 호출을 정지한다.
// 1초마다
let id = setInterval(function () {
  console.log("출력합니다.");
}, 1000);

// 3초마다
setTimeout(function () {
  // 타이머를 제거한다.
  clearInterval(id);
}, 3000);

5. 조금 더 나아가기

익명 함수와 선언적 함수의 생성 순서

익명 함수는 선언적 함수를 무조건적으로 덮어쓴다.

일반 함수와 화살표 함수의 차이

function () {} 형태로 선언하는 익명함수와 () => {} 형태로 선언하는 화살표 함수는 거의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한 가지 차이가 있는데, 바로 내부에서 this 키워드가 가지는 의미이다.

익명함수: function () {}

this는 자바스크립트 최상위 객체 또는 외부에서 강제로 연결한 객체를 나타낸다.

화살표함수: () => {}

this는 자기 자신과 관련된 것만을 나타낸다.

profile
https://github.com/Dingadu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