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s" % "hi"
# ' hi'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서, 대입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그 앞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겨둠.
>>> "%-10stom" % "hi"
# 'hi tom'
>>> "%0.2f%% people is graduated." % 89.1347224
# '89.13% people is graduated.'
>>> "%10.4f" $ 3.421342334
# ' 3.4213'
전체 길이가 10인 문자열 공간에, 소수점은 4번째 자리 까지 출력하므로
앞에 공백 4개가 있음!
공식은 {0}.format(넣고 싶은 숫자)
>>> "I have {0} cups.".format(3)
>>> "I have {0} cups.".format("three")
>>> "I have {0} cups and {1} jars.".format("four",5) # 2개 이상의 값
>>> "I have {cup_number} cups and {jar_number} jars.".format(cup_number="four",jar_number=2) # 2개 이상의 값, 변수 이름으로 넣을 수도 있음.
>>> "I have {0} cups and {jar_number} jars.".format("four",jar_number=2) # 인덱스와 변수를 혼용해서 넣을 수도 있음.
>>> "{0:<10}".format("hi")
0은 인덱스, :<는 왼쪽 정렬, 10은 문자열 자릿수
>>> "{0:>10}".format("hi")
0은 인덱스, :>는 오른쪽 정렬, 10은 문자열 자릿수
>>> "{0:^10}".format("hi")
0은 인덱스, :^는 가운데 정렬, 10은 문자열 자릿수
>>> "{0:=^10}".format("hi")
0은 인덱스, :=^는 공백은 =로 채우고 가운데 정렬, 10은 문자열 자릿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