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로직 구현이 끝났다.
나뭇잎(포인트)를 어떻게 건들여야 될지 몰라서 끙끙거리다가,
글 작성crud하고 계신 성준님께 여쭤봤다.
포인트 어떻게 더하시냐고
그랬는데 웬걸 increment라는 아주 좋은 함수를 알려주셨다.
증가가 있으니 감소도 있겠다 싶어 di누르자 마자 나오는 dicrementㅋㅋㅋㅋ
이제 이걸로 코드를 짰는데 웬걸
광민님이 포인트는 받고 싶은 만큼 받는다 하셨따...
리터럴 템플릿을 써야하넹 하핳 하면서 급히 코드 수정
지금이야 잘 작동되는데, 처음에는 백틱을 어디다 써야 되나 싶어서 여기저기 갖다 붙여봤다.
- 포인트를 감싼 중괄호 전체에도 붙여봤다(오류난다).
- 그 문장 전체에도 붙여봤다(당연히 오류뜬다
- 포인트부터 leaf만 감싼다(오류다).
몇 시간 삽질끝에 ${leaf}
에만 감싸니 잘 작동했다.
그리고 오늘 애먹인 코드
delete router에서 나뭇잎(포인트)이동해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을 남기려고 만든 Leaf테이블에 저장하는 로직이다.
(원래 없었는데 적어도 한명은 나뭇잎 갯수에 대해 항의한다고 만들어야 된다 주장했다)
'sequelizeuniqueconstrainterror' 에러가 계속나서 뭔가 싶어 콘솔 로그 찍어보니
giveId,recipientId가 post router와 똑같은 값이 찍히고 있었다.
바로 바꿔주니 잘 들어가네 헤헹
기쁘다.
비록 브레이크 없는 차를 운전하는 느낌이지만 ..
+현재시간 21:55분 처음 짠 로직이 왜 안되었는지 파악했다.
하도 답답해서 집에 온 동생한테 물어봤는데 위의 코드내용을 설명해 보라 했다.
나는 date나 time이 undefined면 status(400)과 result:false를 보낸다 했는데,
그게 아니라고 했다.
if문 안에 논리연산자가 있으면 이 논리연산자가 undefined, NaN, null, 0이 아니면 true로 인식되어 status(400)과 result:false를 보낸다는 뜻이라 했다.
뭔소린지 몰라서 다시 설명해달라 하니
date가 true면 넘어가고 아니면 time이 반환되고 status(400)과 result:false를 보내는 거라 한다.
나는 그런지 몰랐지..
그리고 이거 type이 datetime이 아니라 string이라고하자 내가 놀라서 입 벌리고 있으니 재밌는거 보듯이 웃었다.
입다물고 이거 type이 datetime이라고 했는데 그건 모르겠고 써놓은건 string이란다.
지금보니 string맞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말이지 우당탕탕 코딩일기다 ㅋㅋㅋㅋㅋ
그리고 확실히 내 상태가 좋지는 않은 거 같다
간만에 쨍쨍해서 하늘을 보는데 흰 구름이 맛있는 생크림, 머랭같아 보였다...
미쳐가는건가? 그런데 지금봐도 맛있게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