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M 발생으로 서비스 불가해당 서버는 IBM Java이기 때문에, Javacore가 남았고, 스레드 덤프 내 Current Thread 검색 해 OOM을 발생시킨 스레드 내용을 분석함.해당 APPL은 Log4j deubg 레벨로 설정 돼 있고 console appen
WAS의 CPU 및 자원 사용률은 낮지만, 지속적인 지연이 발생AIX 6.1IBM Java JRE 1.4.2websphere 6스택트레이스를 생성 해 어느부분이 지연을 발생시키는지 확인 하기로 함.오라클/HP 계열 버전 1.5 이상 : jstack pid오라클/HP 계
ibm java 계열에서 RMI/IIOP를 사용할때 자주 보는 메서드 중 하나가 com.ibm.rmi.iiop.OutCallDesc.waitForResponse() 이다.com.ibm.rmi.iiop.OutCallDesc.waitForResponse() 메소드는 IIO
EMC Unisphere는 다음과 같은 EMC 스토리지 제품군을 지원합니다.EMC VNX 시리즈: EMC VNX 시리즈는 중소규모 스토리지 시스템으로서, Unisphere을 지원합니다.EMC Unity 시리즈: EMC Unity 시리즈는 중간 규모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WAS서버 CPU임계치가 넘지 않았으나, 기존 사용 패턴과 다르다는 연락을 받았다.top 명령어를 통해 10초 정도 모니터링 하니, scssystem이라는 프로세스가 CPU가 튀는것을 확인 했다.프로세스는 확인 했으니, 프로세스의 어떤 행위가 CPU를 많이 사용하는지
HTTPS 리다이렉션 구현 돼 있는 것을 보면, 소스에서 하는 경우가 있고, WEB 설정에 의해 하는 경우가 있다. 간단하게 판단하는 법은 curl을 활용하면 쉽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소스코드에서 수행하는 경우웹에서 설정으로 하는 경우
저자분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슈퍼컴퓨팅본부에서 일하신 경험이 있어 HTC(High Throughput Computing)관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풀어내고 있다. 나는 책을 선택할 때 어떤 관점을 가지고 책을 서술 하는지가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다. 해당 도서는 저
최근 자바 AP의 Native Memory Leak을 개선 하다 해당 영상을 보게 됐고, 간단 리뷰를 해본다.영상의 시작은 OOM Killed 메시지로 시작한다. 해당 내용을 보면 쿠버네티스의 특정 POD의 어플리케이션에서 OOM이 발생해 Slack incoming-w
AIX 시스템을 운영하다보면, Javacore, coredump, Snap 파일등이 파일로 떨어진다.사실, 이런 파일들이 만들어지는건 dump 정책에 의해서 만들어 지는것이다.해당 dump 정책은 IBM에서 제공하는 Dump Agent에 의해서 만들어 진다.Dump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