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가 5인 int형 배열 선언 후 프로그램 사용자로부터 5개 정수 받고, 다음의 내용 출력.1\. 입력된 정수 중에서 최댓값2\. 입력된 정수 중에서 최솟값3\. 입력된 정수의 총 합최솟값/최댓값 구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겠다.배열 첫번째 값을 최대로 놓고 비교해가는
복습을 하던 중, 함수 파트가 매우 취약함을 느꼈고, 개념을 다시 정리 후 옛날에 풀어봤던 연습문제를 다시 한 번 풀어보는 계기가 되었다. 9-1-문제1 (p.221) > 세 개의 정수를 인자로 전달받아서 그 중 가장 큰 수를 반환하는 함수와 가장 작은 수를 반환하는
다짜고짜 C언어를 하기 시작했다. (이유?: 추후 공개) 포인터 이전까지는 회독을 많이 한 책이어서 이론 정리 없이 바로 도전 문제를 풀어본다.괜찮은 변수명을 정하기 위해 인터넷 서칭 후 정했다. 근데 좀 긴 것 같다. 줄여보겠다.컴파일러는 왜 온라인을 사용했냐면, 설
auto -> 자동으로 요소의 특성에 따라 모양이 바뀐다.default -> 기본 화살표 모양.none -> 보이지 않는 커서.pointer -> 손 모양, 클릭 유도.zoom-in -> 돋보기 모양, 확대 유도.not allowed -> 금지속성을 0으로 하면 모습만
position 속성 position 속성은 요소들이 화면에 어떻게 배치될지를 지정한다. 특이사항으로는, 이 속성은 자식 요소에게 대물림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static static은 기본값으로, 전적으로 페이지의 흐름을 따르며 top, bottom, left,
background-repeat 속성 background-repeat : repeat(많이 사용) no-repeat repeat-x repeat-y space round repeat space round no-repeat space round repeat 값 기본값
웹 사이트의 구조를 영리하게 짤 수 있다.display를 flex로 지정하면 플렉스 방식으로 자식 요소들을 배치하게 된다.inline-flex는 해당 컨테니어 요소를 인라인으로 만든다는 차이가 있다.flex-direction의 값row(가로로 왼쪽부터)column(세로
border 속성을 사용하면 요소에 테두리를 줄 수 있다. 선의 굵기와 스타일, 그리고 색을 다양한 값으로 줄 수 있다.ex) border: 2px solid black / 0.5em dashed 너비와 높이 값에 padding과 border 값을 포함시킬지 결정한다.
inline이 아닌 요소는 width와 height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부모의 길이에 상대적인 %뷰포트(viewport) 너비와 높이의 1/100 단위인 vw와 vh이들 중 큰 것과 작은 것의 1/100 단위인 vmax와 vmin(텍스트가 한 줄일 경우) heig
inline 요소 어떠한 내용물을 포장지로 꽁꽁 싸매어 그 공간만을 차지하는 것. 일정한 바깥 형태나 껍데기가 없고 페이지의 흐름에 따라 다른 텍스트나 컨텐츠와 어우러져 배치된다. width/height 속성을 무시한다. -> margin과 padding 속성의 좌우
여러 형식들을 사용하여 색상을 지정할 수 있는데, keyword방식, RGB(A)방식, HEX방식, HSL(A) 방식이 있다.keyword는 색상마다 부여된 이름으로 이 링크에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ex) white, red 등등RGB(A) 는 빨강, 초록, 파랑
텍스트의 정렬 방식을 지정한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 기본값인 left는 왼쪽, center는 가운데, right은 오른쪽으로 텍스트(및 인라인 요소들)을 정렬한다. justify는 왼쪽으로 정렬하면서, 텍스트가 여러 줄이 될 때 마지막 줄을 제외한 줄들의 오른쪽이
글자를 기울일 때 사용가능. italic과 oblique.italic과 oblique은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italic : '기울여서 쓴' 서체.oblique : 본래 서체를 기울여놓은 것.서체마다 둘 다 있거나 한 쪽만 있거나 둘 다 없을 수도 있는데이들은 한쪽이
자손결합자 ( 스페이스 )는 모든 자손을 선택하는 결합자이다.일촌 자식 결합자 ( > ) 는 자기 아들 딸, 딱 1촌 자식만을 선택하는 결합자이다. \*\*하지만, 속성이 오로지 1촌자식만 적용된다면 그 아래의 자실들도 해당 속성을 물려받게 된다.뒤따르는 모든 동생들
css에는 3가지의 방법을 이용해 적용할 수 있다. 인라인 스타일 (inline style) : 태그마다 style 속성을 준다. 사용하지 마라,(정말 특별한 경우, 어떤 요소만 아주 예외적으로 꾸며준다던가 할때만 사용한다. 같은 웹사이트의 다른 곳에서 계속 재생
pre 태그에 텍스트를 작성하면 스페이스, 탭, 엔터 등 모든 공백 요소들이 이와 같이 화면에 그대로 적용된다.때문에 pre 태그는 아래의 아스키 아트(Ascii art)들처럼 공백요소들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아주 특별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일반적으로는 막상
textarea태그는 말 그대로 텍스트를 쓰는 공간이다.전용 속성으로cols: 글자 수 단위의 너비 (기본값 20)rows: 표시되는 줄 수 -> 줄 수 넘어서도 입력은 가능하지만 스크롤을 이용하여 내려야한다.textarea는input 태그와는 다르다. -> input
예전의 익스플로러 눈치를 보느라 HTML5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했었었다..password : 비밀번호 안 보이게 감춘다.search : (브라우저마다 x 뜨거나 안 뜬다. 돋보기 모양 나타날수도 있다.)tel : ex) 휴대폰에서 키보드 자
form 태그 안의 input태그를 수식하는 label태그.label태그를 클릭해도 input태그와 연결되어 클릭된다.button태그 안의 type 속성 ex) submit, reset 등 자바스크립트로 하면 된다.form태그의 autocomplete속성은 기본 on으
target 속성은 링크를 어떻게 열지에 대한 방식을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링크를 누른 그 탭에서 열거나, 새 탭을 열어서 여는 등의 방식을 정하는 것이다. \_self : 그 탭에서 열리게끔.\_blank : 새 탭에서 열리게끔. (제일 많이 사용) ->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