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TCP/IP 계층

함민혁·2023년 7월 25일
0

cs면접준비

목록 보기
8/43

TCP/IP 계층

TCP/IP 계층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TCP/IP 계층이란

TCP/IP 모델은 OSI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으로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된 모형
네트워크 전송 시 데이터 표준을 정리한 것이 OSI 7계층, 이 이론을 실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 TCP/IP 4계층

L4 응용 계층

데이터 단위 : Data/Messag

역할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사용자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담당

예시 : 파일 전송, 이메일, HTTP, SSH, FTP, DNS 등

L3 전송 계층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전송 주소 : Port

역할 : 통신 노드 간의 자료 송수신, 세그먼트(segment)단위의 데이터 구성

예시 : TCP, UDP, RTP, RTCP 등

segment :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나눈 것, 출발지 포트,목적지 포트,전송 제어, 순서,검증 정보 등등이 붙어있음

같은 IP 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해내는게 PORT

ex> 아파트-ip , port-몇호

L2 인터넷 계층

데이터 단위 : 패킷(packet)

전송 주소 : IP

역할 : 네트워크 상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성 제공, 단말기 구분 위해 논리적인 주소 IP 할당, 라우팅 기능 처리,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히 연결되도록 연결성 제공, 패킷(Packet) 단위의 데이터 구성

예시 : IP, ARP, ICMP, RARP, OSPF 등

packet : segment + IP header(출발지,목적지 IP 주소)

라우팅이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모든 일련의 과정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여러 네트워크들을 통과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여러 네트워크들의 연결을 담당하고 있는 라우터 장비가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디인지 확인하여 빠르고 정확한 길을 찾아 전달해주는 것

라우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네트워크 정보, 목적지로 가는 모든 경로, 최적 경로, 지속적인 네트워크 상태 확인

라우팅 테이블이란?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모든 가능성 있는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경로 정보는 패킷을 전달할때 바로 참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모아두는데, 이 공간을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함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의 차이

정적 라우팅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이다.
라우터 간의 데이터 교환이 없어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고, 보안에 강하지만 정해진 경로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전체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동적 라우팅은 접하는 라우터들이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자동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갱신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하지만 그만큼 라우터들끼리 통신을 많이해 대역폭 소비가 크다.

L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데이터 단위 : 프레임(frame)

전송 주소 : MAC

역할 :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정의, MAC을 참조해 장비간 전송, 에러 검출/패킷의 프레임화 담당/ 프레임(frame) 단위의 데이터 전송

예시 : MAC,LAN,패킷망에 사용되는 것들 -> Ethernet, PPP, Token Ring 등

frame : 최종 데이터 전송 전 packet header에 MAC 주소와 오류 검출 부분 첨부

profile
Born to be FE developer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