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특강이야
클라우드 트렌드
산업혁명?
- 1차 산업 -> 동력원이 안에 있음
- 2차 산업 -> 동력이 외부에 있음(전기,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음), 분업화 -> 경제학 발전
생산성도 다르지만, 소음이 줄었다.
동력의 내부화, 외부화 차이
- 3차 산업 -> IT, 자동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 증가(모든 시스템이 안에 있었음), 공정이 세팅이 된다면 바꿀 수 없음
- 4차 산업 -> 클라우드가 들어감. 많은 프로그램이 인터넷으로 연결된다.
wisdom을 만들자.
data→information→knowledge→wisdom
cloud computing
-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필요한 시간만큼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컴퓨팅 방식
- 인프라로 사용하라
장점
- 초기 선투자 비용 없음
- 운영 비용 절감
- 탄력적인 웅영 및 확장
- 속도 및 민첩성
- 비즈니스에만 집중 가능
- 글로벌 확장
직접임대 vs 패스트파이브
- 우리나라 게임사들 대부분 클라우드
- 대부분의 대기업
기업은 늘어나고 있고, 산업은 성장하고 있다.
컨설팅
- 시장현황을 심플하게 표현해야 한다.
- 시장점유율, 변화, 주요 플레이어 등을 잘 써두자
- 정부 컨설팅 할 때, 해외 사례가 중요하다.
- 근거자료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주장과 근거를 "제시"
이동통신방송산업에서 대기업이 많은 편이 아니다.
-> 규제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ESG란?
3가지로 구분
환경,사회적 책임, 거버넌스로
- 브랜드가치가 얼마인지 평가할 수 있을까?
- 도덕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까?
어떻게 평가를 할 것인가?
-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정말 많다.
- 인터뷰도 중요한 데이터이다.
컨설팅의 종류는 정말 많다.
- 보고서 개요, 작성 기준, 보고 범위, 보고 기간, 보고서 문의 등을 씁니다.
- 즉,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언제까지 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
컨설팅 프레임워크
-> 투자대비 성과가 얼마나 어떻게 나왔을까
esg : 기업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달성하기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
Envirionmental
Social
Governance
ROI : 투자대비 수익
재무적인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것같다.
- 재무데이터가 분석하기 좋다.
- 동일한 기준으로 모든 곳에서 재무재표를 만들기에 성과를 비교할 수 있다.
보고 싶은 데이터(의미 있는 데이터)를 뽑아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
결국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가지고 "설득"하는 것이다.
당위성이 중요해
방법론은?
- 의사결정을 할 때, 우선순위 가중치를 부여해준다는 것.
ahp 분석이 참 괜찮다.
해외 사례등을 보고 우리가 과외선생님처럼 제안을 해야한다.
이런 성질의 데이터는 어떻게 하고 얘는 어떻게 하고~~
등...
-> 기업의 의사결정을 위한 대시보드를 만들었다. (컨설팅)
방송 / 통신 / 렌탈 / 지역 행사(이벤트) : lg hellovision
회사 입사를 하려면 해당 회사가 무슨일을 하는지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LG-> 관심을 더 가져야 합니다. (데이터/ 전략/ 정부 등.. )이쪽은 더 그렇습니다.
신입 : 업에 대한 이해가 뛰어난 사람, 경력직 신입
- 특기를 만드세요
- 쓸 말이 많아질거에요(증빙을 할 수 있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