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idian에서 Mac과 iPhone을 연동할때 iCloud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문서의 수와 용량이 점차 많아짐에 따라
점점 동기화하는 시간이 늘어갔다.
급하게 정보가 필요해서 모바일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려고 하면, 그 몇초 ~ 몇분으로 인하여 업무를 제대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생겼다.
해서 Working-copy
라는 앱을 통해 git 연동을 하려고 했으나 금액이 너무 비싸서 (4만원이 넘는다) 다른방안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금액적으로는 충분히 낼 수 있으나 git을 사용하는것이 아닌, 단순한 obsidian과의 연동만을 위해 모든 git기능을 사용하도록 결제하는건 맞지 않다고 판단이 되었다.
git repository와 obsidian vault만 연동하면 되는것이라 판단이 되었다.
아이폰 모바일에서도 linux shell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앱이 존재했다. 그 앱은 ish
친절하게도 obsidian 포럼에서도 가이드를 안내하고 있는 문서가 있었다.
Mobile sync with git on ios
글을 따라서 시도 하였고, 결과는 성공이였다. 다만, 만들어진 위치가 /root/obsidian/obsidian
이라는 결과가 나와 마음에 들지 않아 순서를 변경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했다.
가이드에서는 obsidian이라는 폴더를 만들지만 나는 만들지 않고 바로 clone
부터 받았다.
해당 글은 이미 git에 본인이 수동으로 백업을 하고 있다. git에 백업하는 자료는 웹에 많이 존재하니까 참고하길 바란다.
나의 obsidian은 계정 정보도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github에 private환경으로 생성해 두었다. 유저명과 토큰을 추가해서 받아야 한다.
git clone https://mertyn88:<TOKEN>@github.com/mertyn88/<REPOSITORY>.git
간단한 git config 작업을 했음에도 폴더가 안전하지 않다는 이유로 git pull테스트를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추가해주자.
git config --global --add safe.directory /root/<REPOSITORY>
mount를 위해서는 폴더가 비워져있어야 하는것 같다. (테스트해보지는 않음) 절차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git
폴더를 다른 위치로 이동rm -rf *
을 통해 clone 받은 데이터 삭제mount -t ios . <REPOSITORY>
를 통한 마운드 실행 ( 하단 사진 참조)<REPOSITORY>/.obsidian
삭제.git
폴더 원복git reset --hard
를 통해 지웠던 문서들 원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