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ollo를 사용해서 GraphQL을 안드로이드 앱에 도입하기 위해 튜토리얼을 보고 따라하면서 겪은 내용입니다.
MockK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프레젠터 테스트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글
핸들러, 루퍼, 메시지큐의 관계에 대해 학습한 글
ListAdapter와 DiffUtil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
코틀린의 간결함과 편의성을 활용해서 반응형 프로그래밍 모델을 만든 것이 컴포즈임.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프레임워크가 구성가능한 함수들을 재호출해서 UI 계층 구조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다. 구성가능한 함수는 @Composable 어노테이션이 붙은 함수들이며, 일반함수들
상태 호이스팅 구성가능한 함수에서 사용하는 상태 중 외부 상위 함수에서 제어할 수 있는 요소들은 가능한 위로 끌어올리는 상태 호이스팅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상위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필요없는 상태들은 끌어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이렇게 상태 호이스팅을
로컬 서버를 띄웠는데, 에뮬에서는 10.0.2.2 로 ip주소를 설정하면 잘 동작한다. 그런데, USB 디버깅으로 연결한 물리 디바이스에서는 서버에 연결할수 없었다. 찾아본 결과,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887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