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7.14 ~ 8.25 6주간 진행한 [부스트코스 모두를 위한 파이썬 코칭스터디 : 2022] 에서 리드부스터로서 활동하였습니다.
본 포스팅은 부스트코스 - 모두를 위한 파이썬 강의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실행하면 항상 같은 것을 출력하는 게 아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출력 결과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실용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input( ) 을 통해 문자열 형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번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면
input()
터미널에 커서가 깜빡이고, 아무거나 타이핑해서 엔터를 누르면 프로그램이 종료될 것입니다.
사용자입력을 받았지만, 이것만으로는 실용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엔 부족합니다.
다음과 같이 한번 바꿔볼까요?
a = input()
print(a)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a에 넣고, a를 출력하도록 하였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이제 조금 실용적이게 만들어볼까요?
숫자를 입력하면 2로 나누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input()의 괄호 안에 문자열을 집어넣으면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을때, 문구를 띄워줄 수 있습니다.
print('숫자를 입력하면 2로 나누어드립니다.')
a = input('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print(a / 2)
위와 같이 코드를 짜고 프로그램을 실행한뒤 숫자를 입력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input() 의 자료형은 문자열이기 때문에 자료형을 변환시켜줘야 합니다.
우리는 저번 포스팅에서 자료형을 변환시키는 법을 알 수 있었습니다.
int( ) 를 통해 값을 정수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
print('숫자를 입력하면 2로 나누어드립니다.')
a = input('숫자를 입력해주세요 :')
print(int(a) / 2)
이제 프로그램이 의도대로 작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