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간단하다. 입력에 대해서 (3) ~ (6)을 출력하면 된다.물론,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지만 배열과 함수를 학습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보았다. 문제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상황에 맞는 함수를 설계하는 능력연속적
이 문제도 읽고 한 3분을 고민한 것 같다.첫째 줄에는 바구니의 개수와 행위의 개수가 주어진다.아래에는 행위의 개수만큼 줄이 추가되고 서로 바꿀 바구니의 위치 번호가 주어진다. 주의할 점은 바구니 번호가 아니라 위치 번호라는 점이다. 즉 바구니가 서로 섞이면서 5번 위
이 문제는 보기보다는 까다로운 문제이다. 일단 문제가 너무 길어 읽기가 싫어진다.첫 번째 줄의 첫번째 수는 바구니의 개수, 두번째 수는 공 넣기라는 행위의 수이다.행위의 수에 따라 아래에 배치될 줄이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위 사진의 예시에서는 '4'로 정해졌기 때문에
이번 문제는 줄줄이 입력이 들어오는데, 이것들은 모두 각각의 정수이다. 문제는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번째 수인지 출력하는 것이다.문제의 핵심은 최댓값 찾기 알고리즘을 사용하되, 찾았을 때의 인덱스 번호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하지만 몇번
첫째 줄에는 정수의 개수가 주어진다.둘째 줄에는 첫째 줄에 주어진 개수만큼의 정수가 주어진다.문제는 해당 정수들 중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것이다.최솟값과 최댓값을 찾는 알고리즘은 기초적이지만 중요한 개념이니 잘 숙지해두자.
첫째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정수의 개수와 문제의 타깃이 되는 수가 주어진다.(문제는 타깃보다 작은 수를 모두 출력하는 것)둘째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첫째 줄에는 입력받을 정수의 개수, 둘째 줄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정수들,셋째 줄에는 입력받은 정수 중 찾고자 하는 정수가 주어진다.
앞으로의 업로드는 정답 처리를 위한 코드가 아닌, 파일 입출력을 고려한 정상 작동하는 코드가 대상이다. 따라서, 정답 제출 시에는 알맞은 양식에 맞게 변형해야 할 것이다.굳이 해당 문제에서 헷갈릴만한 부분을 찾자면, 한문자를 저장하는 char 자료형의 변수에 값을 대입
다음은 CLion 환경에서 파일 입출력까지 고려한, 정상 작동하는 코드이다.그리고, 아래는 정답 처리를 위한 제출본이다.이 문제의 핵심은 출력 형식을 맞추는 것이었다. 즉, 10으로 나누되 반올림을 하기 위해 나누는 대상인 10을 형변환해줘야 하는 문제이다. 이 부분만
처음 경험해보는 코딩 사이트인데, 환경이 좀 어색하다. 분명 위의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는 코드인데 제출할 때는 파일 입출력 관련 부분을 제거하고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나는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 정답 처리를 받을 수 있었다.익숙해지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