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파일 관리 임시 파일을 사용해야할 '때'도 있다. (분명..) 가령 subshell로 실행한 bg는 wait로 기다릴 수 없기 때문에, 임시 파일에 실행해야할 커맨드들을 쓰고 읽어서 child process를 만들거나... $ mktemp: 임시 파일 간단 생성 임시 파일을 /tmp/tmp.XXXXXX로 생성하고 STDOUT으로 Path를 출력해준다. $ mktemp Path: 지정된 위치에 임시파일 생성 arg로 오는 Path 절대경로에 X에는 랜덤값을 넣어
$ iostat: device별 IO 모니터링 Install Ubuntu 20.04에서는 sysstat 패키지를 설치해야함 iostat: device별 I/O 모니터링 Device|tps|kBread/s|kBwrtn/s|kBread|kBwrtn| :---|:---|:---|:---|:---|:--- 디바이스|초당 평균 데이터 전송 횟수|KB를 한 블록으로 하는 초당 평균 읽기 횟수|KB를 한 블록으로하는 초당 평균 쓰기 횟수|KB를 한 블록으로 하는 총 읽기 횟수|KB를 한 블록으로 하는 총 쓰기 횟수 2초마다 갱신 파티션 정보까지 모두 나타내기 : caller가 어떤 함수를 call 했는데 callee 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어서, caller가 Wait/block(Suspend 아님!!) 있는 상태 callee가 결과 값을 줄때 까지! 제어권을 caller에게 안줌! <b
du option|Description :---|:--- -a|모든 파일들의 기본정보를 보여준다 -B, --block-size=size|지정한 size를 블록 사이즈로 사용한다. -b|표시단위를 기본 KB대신 Byte로 한다 -k|표시단위르 KB단위로 한다 -m|MB 단위로 보여줌 -h|사용량을 1K, 234M , 2G 등의 형태로 보여준다 -c|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정보를 보여주고 나서 합계를 보여준다 -s|총 사용량만 표시한다 (KB 단위 출력) -x|체크하는 경로안에 다른 시스템이 있으면 생략한다 -D|심볼릭 링크 파일이 있을경우 원본의 값을 보여준다 -L|-D 옵션과 같다 --max-depth=1|현재 위치에서 바로 아래단 까지만 결과를
group 조회 $ cat /etc/group sudo 권한이 있는 사용자 조회(Password는 요구함) $ groupadd 그룹추가 $ groupmod $ usermod처럼 그룹을 관리하는 $ groupmod가 있다. options|description|example :---|:---|:--- -g, --gid GID|지정한 GROUP의 <span style="color:re
Owner別 파일 위치 Owner:root service/timer /etc/systemd/system/.로 파일을 만든다. Owner: $USER service/timer $HOME/.config/systemd/user/.로 파일 만든다. Timer t
ctags c, sh 프로그램을 vim 사용 시, 함수 혹은 변수가 정의된 위치로 왔다 갔다 해야할 일이 많은데 이를 수행 사용법 ctags를 사용할 디렉토리에서 아래의 명령어 사용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사용하려면, 아래의 명령어 사용 결과 tags 파일이 만들어진다. vim 연동 결과인 tags 파일을 vim에서 사용하려면, vim 내부에서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내려야한다. 하지만 vim 을 켤 때마다 명령하는 것은 귀찮기 때문에 보통은 ~/.vimrc에 아래와 같이 작성해 기본 연동한다. 커맨드 Tag Command|*
atime atime = access time 파일에 마지막 접근 시간 cat, vi등으로 파일에 액세스 하면, atime이 변경된다. 이 ?time들은 find 명령어와 자주 쓰인다. find 명령어 참고 mtime (ls -l로 보이는 것) mtime = modified time 파일 마지막 수정 시간 vim, echo "msg" >> file 등으로 내용이 수정되면 변경된다. ctime ctime = inode changed time 아이노드가 변경된 시간 inode 변경 조건 1-1. file permission (chmod ... ) 1-2. file owner (chown, chgrp ... )
종류|동작|명령|opt :---|:---|:---|:--- tar|1. 내용 보기2. tar묶기3. tar풀기 |$ tar -tvf .tar$ tar -cvf .tar$ tar -xvf .tar -C |- gz|1. gz압축2. gz풀기 3. 원본파일 두기: -k 옵션|$ gzip $ gzip -d
sleep [sec] sleep [second] 명령은 명시된 초 만큼 프로세스 실행을 중지(중지도 running상태) ctrl+{c,z,d} ctrl+c 프로세스 강제 종료 kill -INT PID와 같다. foreground job에 interrupt 신호(SIGINT)를 보내 종료 시킨다. 파일 이름 2)아이 노드 3) 데이터 블록 을 가지고 있다. 아이노드가 참조 0이되면 최종 삭제된다. 하드링크 cp와 혼동하면 안된다!! 같은 아이노드를 가진 복사본이라 생각하자!! 하나를 수정하면 하드링크도 수정된다!! 원본이 지워져도 상관 없다!! **nums of ref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