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alytics란 구글이 제공하는 웹 분석 서비스 플랫폼이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의 세션 기간, 세션당 페이지 등 웹사이트 활동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무료 서비스임에도 매우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학습목표 HTTP/0.9부터 HTTP/2의 특징을 이해하고 적용해보자. HTTP를 배우기 전에 Web 서비스 및 네트워크에서 성능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은? Bandwith(대역폭), Latency(지연시간)이라고 판단된다. Bandwith: 단위 시간 동안 한
자바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 이해하고 타입 별 메모리 할당 공간을 설명할 수 있다.데이터 타입(Data Type)이란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자바의 데이터 타입에는 기본형 타입(primitive t
JVM의 내부 구조와 역할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자바 바이트 코드(\*.class 파일)를 OS에 특화된 코드로 변환(인터프리터, JIT 컴파일러)하여 실행한다.이미지 1
현업에서 일하다 보면,신규 기능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테이블 설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예전에 배웠던 기억으로 주먹구구 설계하기 보다는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정리하고 제대로 설계 해보자!올바른 프로세스로 DB 설계를 할 수 있다.
지정한 IP 주소에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패킷 : 네트워크에서 출발지와 목적지간에 라우팅 되는 데이터 단위출발지 IP(Source Address)목적지 IP(Destination Address)TOS(Type of Service : 라우터에서 IP 데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기록 및 공유한다.강의 :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